검색 상세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자기구실 만들기에 미치는 영향: 실패공포와 수행회피 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Adolescents’ Self-Handicapping: The Mediating Effects of Fear of Failure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초록/요약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자기구실 만들기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실패공포와 수행회피 목표지향성을 통한 간접적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남녀 고등학생 260명(남학생 114명, 여학생 146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2.0을 사용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3.0 프로그램을 통해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자기구실 만들기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지만, 청소년의 실패공포를 통해 자기구실 만들기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였다. 즉, 청소년이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높게 지각할수록 실패공포를 더 경험하고, 이 경우 자기구실 만들기를 더 많이 보였다. 수행회피 목표지향성은 매개적 역할을 담당하지 않았지만 실패공포를 더 경험할수록 수행회피 목표지향성을 더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업과 관련한 자기구실 만들기를 낮추기 위해서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로 인해 형성된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낮추는 인지적 전략들이 선행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more

초록/요약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 effect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fear of failure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on adolescents’ self-handicapping. A total of 260 high school students (114 boys and 146 gir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completed the questionnaire that included measures of their perception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fear of failure,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and self-handicapping.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program and AMOS 23.0 program. Firs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did not have direct effects on self-handicapping. Secon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had indirect effects on self-handicapping through fear of failure. Adolescents who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experienced higher levels of fear of failure and used self-handicapping more. Third,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did not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elf-handicapping. These findings imply that in order to reduce academic self-handicapping, cognitive strategies reducing fear of failure need to be preced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