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학령전기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이야기 이해 능력과 작업기억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Narrative Comprehension and Working Memory in Preschool Children With and Without Language Delay

초록/요약

목적: 학령전기 아동의 이야기이해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작업기억은 다양하다. 그러나 학령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세분화된 작업기억을 이야기이해 능력과 관련지어 분석한 연구들은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작업기억의 하위요소(음운루프, 시공간잡기장, 일화적완충기)를 모두 살펴보고, 학령전기 아동들을 위한 효과적인 이야기 이해 중재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만 4~6세의 언어발달지연 아동 15명과 일반아동 21명 등 총 36명을 대상으로 3개의 작업기억과제(비단어따라말하기, 매트릭스, 단어목록회상)와 2개의 이야기이해 과제(사실, 추론)를 실시하였다. 통계적 처리는 독립표본 t검정과 피어슨 적률상관계수 및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집단에 따른 이야기 이해 과제수행 능력은 일반아동집단의 수행력이 언어발달지연 아동집단보다 높았다. 둘째, 작업기억능력과 사실 이해 능력 간의 관계는 전체의 경우 매트릭스, 단어목록회상 능력이, 일반 아동의 경우에는 비단어따라말하기 능력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작업기억 능력과 추론 이해 능력 간의 관계는 전체의 경우 비단어따라말하기, 단어목록회상 능력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사실 이해 과제 수행력의 예측요인은 전체의 경우 매트릭스 능력, 일반 아동의 경우는 비단어따라말하기 능력이었다. 추론 이해 과제 수행력의 설명력이 가장 높은 것은 전체의 경우 단어목록회상 능력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야기 이해 과제수행 시 시각정보와 장기기억은 제한된 음운정보의 저장 능력과 단기기억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음을 나타내주며, 시공간잡기장과 일화적완충기가 학령전기 아동의 이야기이해 능력을 설명하는 변수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학령전기 아동의 이야기이해 능력에 있어 세분화된 작업기억의 특성을 고려해서 평가와 중재를 할 필요가 있다.

more

초록/요약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narrative comprehension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LD) compared to typically developing (TD) children and to examine which sub-systems of working memory (phonological loop, visuospatial sketchpad, episodic buffer) can best predict children’s narrative comprehension ability. Methods: A total of 15 LD children and 21 TD children aged between 4 and 6 years old conducted three working memory tasks (non-word repetition, matrix, word list recall) and two narrative comprehension tasks (literal comprehension, inferential comprehension). Results: First, the LD children performed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TD children on the inferential comprehension task,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on the literal comprehension task performance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literal comprehension ab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correlated with matrix and word list recall performance between both groups; literal comprehension ab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correlated with non-word repetition performance in TD children. Inferential comprehension abilit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non-word repetition and word recall performance in both groups. Third, matrix task performance significantly predicted literal comprehension ability in both groups, while non-word repetition task performance significantly predicted literal comprehension ability in TD children. Performance on the word list recall task significantly predicted inferential comprehension ability in both groups.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visual information and long-term memory can compensate the limitations of limited verbal working memory capacities and short-term memory. Also, visuospatial sketchpad and episodic buffer task performance are potential predictors of preschool children’s narrative comprehension abiliti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