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of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Emotional Clarity

초록/요약

본 연구는 성인애착을 애착불안과 애착회피의 두 차원으로 나누어 대학생의 사회불안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만 18~25세 대학생 495명의 자기보고식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결과, 애착불안 및 애착회피와 사회불안 사이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단순매개효과가 각각 유의하고,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정서인식명확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역시 유의하였다. 특히, 애착불안과 사회불안 간 관계에서는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단순매개효과가, 애착회피와 사회불안 간 관계에서는 정서인식명확성의 단순매개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불안을 경감시키기 위해 성인애착 차원에 따른 차별화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adult attachment(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emotional clarity and social anxiety. The self-report data of 495 college students aged 18 to 25 from Seoul and Gyeonggi regions was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ach mediating effec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or emotional clarity between adult attachment dimensions and social anxiety was significant, as well as the sequential dual-mediated effec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emotional clarity. It is of note that the simple-mediating effec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was the greatest in the relation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social anxiety. The simple-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was the greatest on the path from attachment avoidance to social anxiety. This study suggests that differentiated intervention strategies on the dimensions of adult attachment are necessary to alleviate social anxiety in college student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