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지역중심 일⋅생활⋅복지 O2O Convergence 시스템

Regional-centered Work, Living, and Welfare O2O Convergence System

초록/요약

경제발전과 함께 우리나라의 사회보장 내지 사회복지도 양적⋅질적으로 괄목할만한 성장을 해왔으며, 민간복지에서 국가복지로, 시혜적⋅정책적 복지를 넘어 법적⋅제도적 복지로 변화되어 왔다. 이에 따라 사회안전망과 선별적⋅보편적 복지의 법제화가 계속되어,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을 비롯하여 긴급복지지원법에 이르기까지 상당히 많은 보장입법⋅복지입법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사회보장수급권 내지 사회복지권의 법제화를 통하여 사회경제적 약자의 인권과 복지가 크게 향상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복지사각지대 해소와 중복누수 및 비효율 제거, 전달체계 개선과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복지 구현 등 풀어야 할 적지 않은 현재진행형 당면과제가 우리 앞에 놓여 있다. 국가차원이든 지역단위이든 복지 효율화 고도화를 위해서는 복지 지식화가 필수적이며, 이는 복지 빅데이터 구조화 인프라를 기반으로 인적⋅물적⋅지역적 유⋅무형 융복합 수요공급 전달체계 지식관리 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지식서비스화함으로써 도달 가능하다. 사회안전망 복지와 선별 복지 그리고 보편 복지의 대상과 내용을 어떻게 할 것인가의 난제 또한 유형적으로 세분화된 복지지식의 데이터화-정보화-지능화라는 단계적 진화만큼 해법을 모색해갈 수 있을 것이다. 복지지식화에 있어서는 특히 지역 사회복지법인과 시설의 기능과 역할이 중요하다. 생활시설이든 이용시설이든 다양한 인적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오랜 동안 수행해온 복지실천, 특히 순기능적 경험은 복지 전문성 기반 복지콘텐츠와 복지서비스 프로그램 공급시스템 구축을 위한 소중한 지역복지 에너지원이다. 지역에서 이들이 쌓아온 복지데이터 전반을 체계적으로 관리운영하면서 이를 지식화하여야 한다. 이러한 복지데이터의 지식 구조화를 기반으로 복지 콘텐츠의 지식검색과 업무 서비스의 지식화를 통한 통계분석 알고리즘의 축적은 복지 DSS를 거쳐, 복지 알파고 복지 AI로 진화해가게 될 것이다. 더불어 다양한 복지데이터는 물론 사회서비스 연계 데이터를 하나의 클라우드로 관리할 수는 없다. 분산과 연동을 통한 지식데이터 공유활용이야말로 지식정보혁명기 우리 사회가 미래로 향해갈 방향이다. 그러나 복지클라우드가 복지 빅브라더가 되어서는 안 될 일이다. 때문에 프라이버시를 포함한 개인정보보호를 위해서도 분산과 연동이 중요하므로 지식기반 융복합 온오프라인 공유경제와 데이터 경제가 더해져 지역마다의 경쟁력 있는 지역상생발전을 이루어갈 수 있을 때, 수도권 못지않은, 그보다 나은 지역생활과 융복합 복지모델이 현실화될 수 있을 것이다.

more

초록/요약

Along with economic development, Korea's social security and social welfare have grown remarkably in quantity and quality, and have changed from private welfare to national welfare, and from substantive and policy welfare to legal and institutional welfare. Accordingly, the legislation of social safety nets, selective and universal welfare has continued along with a considerable number of security and welfare legislation have been implemented like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and the Emergency Welfare Support Act. Thereby, human rights and welfare of the socio-economic minority have been greatly improved through the legislation of social security and social welfare rights. However, there are a number of ongoing challenges ahead of us that need to be solved, such as eliminating welfare blind spots, redundant leaks and inefficiencies, improving delivery systems, and implementing customized welfare-centered on consumers. Welfare knowledge is essential for upgrading welfare efficiency at the national or regional level, which can be achiev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knowledge management system for human, physical, and regional tangible and intangible convergence demand and supply delivery system based on the infrastructure of welfare big data structure. The challenges of how to deal with the objects and contents of social safety net welfare, selective welfare, and universal welfare will also be as much a solution as the step-by-step evolution of data-informatization-intelligence of tangible subdivided welfare knowledg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