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성인초기 남녀의 성차별 메타-인식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유형별 성역할갈등, 이성과의 거리감, 성차별 논쟁에 대한 지지도 차이

Latent Profile Analysis of Meta-Awareness of Gender Discrimination Among Korean Young Adults: Group Differences in Gender Role Conflict, Sense of Distance from the Opposite Sex, and Support for Gender Discrimination Issues

초록/요약

본 연구는 성별 간 갈등이 가장 극심하게 나타나는 성인초기 남녀의 성차별 메타-인식 양상을 탐색하기 위해 ‘여성의 남성을 향한 양가성에 대한 인식’과 ‘남성의 양가적 성차별에 대한 인식’, ‘한국 사회의 성차별 실태’에 대한 지각을 측정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고, 각 유형에 따른 성역할갈등, 이성과의 거리감, 성차별 논쟁에 대한 지지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만 18세 이상 39세 이하 남녀 33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0.0과 Mplus 7.4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여성은 ‘성차별 둔감형 여성’, ‘성차별 민감형 여성’, ‘성차별 저항형 여성’ 총 3가지 유형, 남성은 ‘성평등 인식형 남성’, ‘역차별 인식형 남성’ 총 2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여성들은 성차별 메타-인식이 높은 유형일수록 성차별에 대한 지각과 성차별 논쟁에 대한 지지도가 높아진 반면, 남성들은 성차별 메타-인식이 높은 유형일수록 역차별에 대한 지각이 높아졌다. 남녀 모두 성차별 메타-인식 수준이 높은 유형일수록 더 높은 성역할갈등과 이성과의 거리감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현 한국 사회의 성별 갈등 현상에 대한 시사점과 본 연구의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latent classes of meta-awareness of gender discrimination among Korean young adults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based on ‘perceived ambivalence toward men among women’, ‘perceived ambivalent sexism among men’, ‘perceived gender(reverse-) discrimination in Korea’. After identifying the latent classes,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 role conflict, sense of distance from the opposite sex, and support for gender discrimination issues were explored among the classified groups. As a result, 3 latent classes among women and 2 latent classes among men were identified. Latent classes among women were named ‘women with low sensitivity of sexism’, ‘women with high sensitivity of sexism’ and ‘women against sexism’ and latent classes among men were named ‘men with perception of gender equality’, ‘men with perception of reverse discrimination’. Types with higher levels of meta-awareness of gender discrimination were related with higher gender role conflict and higher sense of distance from the opposite sex. Among women, types with higher levels of meta-awareness of gender discrimination perceived higher levels of gender discrimination and showed more support for gender discrimination issues while among men, types with higher levels of meta-perception of gender discrimination only perceived higher levels of reverse discrimination. Based on the present findings, implications about the severe gender conflict among Korean young adults are further discussed in the articl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