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지각된 교수-학생 관계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조절 및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ion and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 between the perceived faculty-student relationship and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초록/요약

대학 진학 후 학습자들은 급격한 환경 변화로 많은 스트레스를 받으며, 적응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부적응과 이로 인한 중도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여러 연구에서 교수자와의 긍정적인 관계는 학습전략의 활용과 몰입을 지원하며, 학업성취와 적응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적응 과정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 불안 등 부정적인 정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 역시 성공적인 적응을 위한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대학의 신입생 287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진행하고, 학습자가 지각한 교수-학생 관계, 학업적 자기조절, 학업적 정서조절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먼저 학업적 자기조절과 학업적 정서조절에 대한 지각된 교수-학생 관계의 예측력을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각된 교수-학생 관계는 학업적 자기조절과 학업적 정서조절을 모두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지각된 교수-학생 관계, 학업적 자기조절, 학업적 정서조절의 예측력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수-학생 관계와 학업적 정서조절은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을 모두 유의하게 예측한 반면, 학업적 자기조절은 학업적 적응만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교수-학생 관계와 학업적 적응 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조절과 학업적 정서조절의 다중매개 효과를 검증한 결과, 학업적 자기조절과 학업적 정서조절 모두 유의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학업적 정서조절은 교수-학생 관계와 사회적 적응, 정서적 적응, 환경적 적응과의 관계에서 모두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대학생활적응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교수자와 긍정적이고 안정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학업적 지원과 함께 학습자가 자신의 정서를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정서조절 스킬의 함양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ion and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 between the perceived faculty-student relationship and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Data was collected from 287 college students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A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In addition, the procedure suggested by Preacher and Hayes was used to test multiple and simple mediation analyses using the SPSS Macro. The stud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ived faculty-student relationship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self-regulation and emotion regulation. Second, the perceived faculty-student relationship, self-regulation, and emotion regulation significantly predicted students' college adaptation. Third, both self-regulation and emotion regul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faculty-student relationship and academic adjustment. Finally, emotion regul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faculty-student relationship and social adjustment,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institutional attachment.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a stabl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is important to promote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More specifically, it is essential to help learners develop emotion regulation, which is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regulate their own emotion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