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탈북청소년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A Qualitative Case Study on Art Therapy to Enhance Resilience for North Korean Refugee Youth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탈북청소년이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고,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A 대안학교에 재학 중인 만 15세 여자 탈북청소년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2020년 2월 13일부터 2020년 5월 16일까지 주 2회 90분간 총 16회기의 미술치료 사례를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미술치료 전 회기의 녹취와 축어록, 작품 촬영 이미지, 연구자의 관찰일지, 연구 참여자 및 담임 선생님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회기 분석 및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론은 첫째, 연구 참여자는 감각적인 미술 활동을 통해 있는 그대로의 감정을 정화하고 인식함으로써, 자기조절능력을 갖게 되었다. 둘째, 참여자는 미술을 매개로 외상 기억을 안전하게 처리하고 이를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 셋째, 참여자는 치료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경험한 신뢰감을 토대로 대인관계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켜 외적 자원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넷째, 연구 참여자는 미술치료를 통해 경험한 성취감과 유능감이 원동력이 되어 긍정적 자기개념을 형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가 탈북청소년의 외상에 대한 긍정적인 대처를 도왔을 뿐 아니라 개인의 자원과 긍정적인 역량을 강화하여 심리적 성장을 이루는 과정을 밝혔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is experienced in the art therapy to enhance resilience for a North Korean Refugee Youth and what the experience meant for her. For this purpose, 15-year-old female youth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 was selected. She was attending an alternative school located in Seoul. The case proceeded twice a week, 90 minutes per session, and for a total of 16 sessions from Februdary 13, 2020 to May 16, 2020. Data collection was done through art therapy sessions, photographs of the art works, the researcher’s observation journal and in-depth interviews.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stant comparison method.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 improved her self-regulation by relieving negative emotions and experiencing purging of emotions. Second, the participant positively could cope from the trauma by reexamining the traumatic events and inferring the meaning of adversity. Third, the participant rebuilt her trust in others and changed her perception of social resources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art therapist. Lastly, the participant was able to build up self-identity by accumulating positive emotions which had been experienced through art therap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art therapy that can enhance resilience not only helped North Korean refugee youth to cope with trauma but also explore the process of achieving psychological growth by strengthening potential resourc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