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국내 온라인 학습에서 실재감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Effects of Presence on Domestic Online Learning Outcomes: A Meta-analysis

초록/요약

본 연구는 국내 온라인 학습에서 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온라인 학습설계에서 실재감을 높이는 지침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기준에 부합하는 총 50편의 연구를 선정하고 수집된 195개의 효과크기를 토대로 실재감의 학습성과에 대한 전체 효과크기, 교수ㆍ인지적ㆍ사회적ㆍ감성적 실재감 등 실재감 요인별 효과크기, 인지적ㆍ정의적ㆍ사회적ㆍ메타인지적 영역 등 학습성과 영역과 변인별 효과크기, 출판 유형, 연구 대상, 교과목 구분, 과목 영역, 정규수업 유무 등 조절변인별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실재감의 전체 효과크기는 0.56으로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둘째, 실재감 요인별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모든 실재감 요인에서 큰 효과크기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학습성과 영역별로 실재감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 정의적 영역과 사회적 영역은 큰 효과크기, 인지적 영역과 메타인지 영역은 중간 효과크기를 보였다. 학습성과 변인별 분석 결과에서는 만족, 몰입, 상호작용, 자기효능감, 학습지속의향은 큰 효과크기, 성취도와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중간 효과크기를 보였다. 넷째, 조절변인 중 연구 대상과 교과목 구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통합적 효과를 규명할 수 있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성과를 높이기 위한 교수설계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and guidelines with regard to online learning designs during the COVID-19 outbreak based on th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analysis of effects of presence in domestic online learning outcomes. For investigating this purpose, a total of 50 studies meeting the criteria, which were mostly academic journals and theses published since 2011, were selected, and the general effect size of presence on online learning outcomes, the effect size of presence by factors such as instructional․cognitiveㆍsocialㆍemotional presences, the effect size of presence by learning performance areas such as cognitiveㆍdefinitionalㆍsocialㆍmeta-cognitive areas and by variables and the effect size of presence by moderator variables such as the effect size of variables, type of publication, subject of study, classification of subjects, subject area and whether it is a regular class or not were calcul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effect size of presence was 0.56, which was a large effect.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effect size of presence by factors, all the factors showed large effect sizes. Third, the result of the effect of presence by learning performance areas, definitional and social areas showed large effect sizes while cognitive and meta-cognitive areas showed medium effect sizes. Regarding the analysis result of the effect size of presence by learning performance variables, satisfaction, immersion, interaction, self-efficacy and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showed large size effects while achievemen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howed medium effect sizes. Fourth, among moderator variables, subject of study and classification of subjects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conclusion, this study established the integrated effect of presence on online learning outcomes through the meta analysis, and based on this, it suggested design and implementation guidelines to enhance online learning outcom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