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뉴트로(New-tro) 디자인을 통한 도시재생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Urban Regeneration through New-tro Design

초록/요약

(Background and Purpose) In cities, humans form relationships and enjoy culture. In this manner, cities form their identity, but modern domestic cities find it hard to differentiate themselves. However, the way the city is handled has changed recently, and the craze for the “ newtro” design has begun to be applied. To suggest space through newtro design and the direction of urban regeneration that is born based on it,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recent cas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correct direction of urban regeneration through the design of newtro by analyzing the formation of unique urban images and how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newtro are projected onto urban spaces. (Method)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first identify the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describe the latest status and alternatives, and then look at Kevin Lynch's research to find the city's image. Second, know the definition of Newtro and grasp the phenomena in many ways. Based on prior research, we also deriv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tro space. Third, a case study was conducted by applying the five elements of urban image to the casebook derived from a data collection based on big data. It also presents the direction of this study by analyzing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newtro in a space that conforms to the above factors. Fourth, the analysis results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urban regeneration through newtro design and future demands. (Results) Recently, old downtowns in Seoul have been reborn with their identity intact. They have a unique image, and to identify it, Kevin Lynch cited elements that make up the city's image, which can be felt in physical form. Newtro is also in many ways a new concept developed in retro culture. As a result of prior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Newtro space were derived from morphological, cultural, and esthetic characteristics, and the case analysis showed that it was different from the image of the city where short-sighted urban development took place. Urban image analysis showed that the identity of spac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Newtro and that efforts to form urban image are related to the Newtro design. (Conclusion) Although urban regeneration through Newtro has been seen in many parts of Korea recently, more urban development is still taking place due to the demolition and redevelopment, and many people prefer such urban development from a simple perspective of real estate property creation. However, if more cities undergo urban regeneration through Newtro, it is believed that old spaces will regain life, and the revitalization of the region will have a positive effect.

more

초록/요약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에서 인간은 관계를 형성하고 문화를 향유하면서 살아간다. 이 과정을 통하여 도시는 정체성을 형성하게 되지만 현대 국내 도시들은 차별성을 찾아보기 힘들어졌다. 하지만 최근에는 도시를 다루는 방식이 바뀌기 시작했다. 뉴트로 디자인의 열풍이 도시에 적용되기 시작한 것이다. 뉴트로 디자인을 통한 공간과 이를 바탕으로 재탄생 되는 도시 재생 방향을 제안하기 위해서는 최근 나타나고 있는 사례를 직접 조사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유한 도시의 이미지의 형성과 도시 공간에 뉴트로 공간 특성이 어떻게 투영되고 있는지 사례를 통해 분석하여 뉴트로 디자인을 통한 도시 재생의 올바른 방향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첫째, 도시재생의 개념을 파악하고 최근 현황과 대안을 서술한 후 도시 이미지 파악을 위하여 케빈 린치의 연구를 살펴본다. 둘째, 뉴트로의 정의를 알고 다방면에서의 현상을 파악한다. 또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뉴트로 공간의 특징을 도출한다. 셋째, 빅 데이터 기반의 자료 수집을 통하여 도출한 사례지를 도시 이미지 5요소를 적용하여 사례 조사를 진행한다. 또한 위의 요소에 부합하는 공간에서 뉴트로 디자인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넷째, 분석 결과를 통하여 뉴트로 디자인을 통한 도시 재생의 실태와 앞으로의 요구를 파악한다. (결과) 최근 서울의 구도심들이 정체성을 유지한 채로 재탄생되어 나타나고 있다. 이들은 고유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데 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케빈 린치는 물리적인 형태에서 느낄 수 있는 도시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소를 들었다. 또한 뉴트로는 복고 문화에서 발전된 새로운 개념으로 다방면에서 타나고 있다. 이를 통한 선행 연구의 결과 뉴트로 공간의 특징은 형태적, 문화적, 미학적 특성으로 도출되었으며 이에 대한 사례 분석 결과 근시안적인 도시개발이 이루어진 도시의 이미지와는 다른 결과로 나타났다. 도시 이미지 분석 결과 공통적으로 지역의 역사와 관련이 있었으며 뉴트로 공간에 있어 공간의 정체성이 뉴트로 특징에 가장 중요한 요소임이 나타나며 이는 도시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한 노력이 뉴트로 디자인과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결론) 최근 국내 곳곳에서 뉴트로를 통한 도시재생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볼 수 있지만 아직은 전면 철거 재개발로 인한 도시 개발의 형태가 더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이며 단순한 부동산 재산 창출의 관점에서 이러한 도시개발을 선호하는 이들 또한 적지 않은 상황이다. 하지만 더욱더 많은 도시의 모습이 뉴트로를 통한 도시재생으로서 나타난다면 오래된 공간들이 다시 생명을 얻고 이를 통한 지역의 활성화 또한 긍정적인 효과를 얻으리라고 판단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