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사회자본이 공유경제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 intention of using sharing economy

초록/요약

과잉소비에 따른 자원낭비와 세계적인 경기 침체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공유경제가 고려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역사회의 사회자본, 특히 사회자본의 구성요소인 신뢰, 네트워크, 규범이 공유경제 이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사회적 유대관계에 따른 구전효과의 조절적 영향과 함께 분석하였다. 베이징 지역의 공유자전거와 공유자동차 이용 경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사회자본의 세 가지 구성요소는 공유경제 이용의도에 긍정적 영향이 있었으나, 공유경제의 유형에 따라서 차이점이 존재하였다. 공유자전거와 같은 제품 서비스 통합 유형에서는 사회자본으로서 일반적 신뢰만 유의미하였으나, 공유자동차와 같은 공동 라이프 스타일에서는 일반적 신뢰와 함께 구체적 신뢰가 모두 유의미한 영향이 있었다. 또한 강한 유대관계에 따른 구전효과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sharing economy, which has been pointed out as an alternative to solve the waste of resources and the global economic recession due to overconsumption, is emerging as a global trend. This study examines how trust, networks, and norms, which are components of social capital, affect the intention to use the sharing economy. Furthermore, we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tie eWOM (Word of Mouth). To test research hypothesis,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ose who have used sharing bicycles and sharing cars in Beijing.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onents of social capita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sharing economy. In addition, only the general trust as a social capital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the sharing bicycles (product service system type). However, in the case of collaborative lifestyle such as sharing cars, both general trust and concrete trust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usage intention. Finally, only strong-tie eWOM was found to have moderate moder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intention to use the sharing econom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