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딜레마

Dilemma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초록/요약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의 함양을 기치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이 개발, 시행된 지 수년이 지난 지금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학교 현장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데 어려움이 많다는 연구 보고가 잇따르면서 그 문제 진단과 해법을 둘러싸고 논란이 가열되는 양상이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유지 개선하자는 입장,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 인해 약화된 지식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 OECD 주도의 글로벌 교육과정 거버넌스에서 벗어나자는 입장 등 여러 주장들이 제기되고 있다. 개선이든 대안이든 어떠한 입장을 취하기에 앞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둘러싼 논쟁에 대해 보다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논쟁과 관련된 주요 쟁점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특히 전통적으로 직업교육에서 활용되었던 역량기반 교육과정이 학교에 도입되면서 딜레마에 빠져버린 현상에 주목하였다. 먼저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개념, 설계, 실천을 둘러싼 쟁점들을 검토하였고 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여러 다양한 노력들을 살펴보았다.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와 영(Young)의 힘있는 지식론(Powerful Knowledge), 비에스타(Biesta)의 주체화(Subjectification) 담론을 중심으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개선안/대안을 둘러싼 논쟁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논쟁이 우리 교육과정에 주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the DeSeCo core competencies has been implemented for several years in Korea. Nevertheless, the debate over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has continued. In particular, as an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have reported the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schools, a heated argument over the causes of and solutions to these problems has arisen. Some argue for tinkering with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some for teaching the powerful knowledge, and others for breaking away from the OECD’s global curriculum governance.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debate over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particularly regarding its conceptualization, design, and implementation. Then, it discusses various efforts to resolve the problems, including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Young’s conception of powerful knowledge, and Biesta’s discourse on subjectification. Finally, it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e debate over the competency-based 2015 National Curriculum.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