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21세기 이미지 시론 연구

A Study on the Poetics of Images in the 21st Century

초록/요약

오늘날 이미지는 우리의 뇌에서 스크린처럼 작동한다. 그림이나 사진처럼 순간이나 정지된 상태의 이미지로 지각하는 게 아니라 영상이나 홀로그램처럼 지속과 운동의 상태로 사유된다. 이미지 간의 운동성과 관계성, 공간성과 시간성을 현시하는 이러한 이미지 개념은 21세기 대중문화에 대한 철학적 사유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개념이 되고 있다. 대중문화 전반의 특징이 시에 혼종되면서 극문법, 서사문법, 영화문법이 자연스럽게 스며든 현대시에서도 마찬가지다. 들뢰즈의 영화 이미지를 전유하여 현대시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이미지를 개념을 세워보고자 한 이유다. 그 결과 현대시에서 순수한 운동성을 제시해주는 시 이미지를 네 가지로 유형화한 후 유형별 예시들을 통해 그 분석적 실제를 살펴보았다. 먼저, 이미지의 운동성과 관계성을 전제로 그 개념을 살펴보았으며 이미지를 분석하는 기본단위들을 제시하였다. 시 이미지의 단위를 단면/장면/몽타주로 전환하여 분석의 단위로 삼았다. 이를 토대로 김광균의 「秋日抒情」과 김종삼의 「북치는 소년」을 중심으로 감각․정신․의식․기억 등이 뒤섞여 사물 전체의 윤곽을 드러내는 지각-이미지를, 이용악의 「낡은집」, 장석남의 「그리운 시냇가」를 중심으로 동사화된 ‘동작’과 연관된 전달과 수행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행동-이미지를 살펴보았다. 최승자의 「청계천 엘레지」와 허수경의 「혼자 가는 먼 집」을 예시로 지각과 행동의 경계에서 정서․감성․감정․충동과 같은 상태적 특질로서의 형상, 성질, 상태 등이 클로즈업된 정감-이미지를, 이상의 「오감도-시제13호」와 강성은의 「Ghost」로 예시로 유기적이고 사실적인 묘사가 불가능한 식별불가능한 지점을 사유하는 크리스탈-이미지를 살펴보았다. 현대시의 이미지 분석에 유용한 이미지 개념과 유형화, 그리고 한국 현대시를 대표하는 예시들 보여줌으로써 새로운 패러다임의 이미지 시론을 시도하였다. 이로써 운동성, 관계성, 공간성, 시간성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개념들을 통해 시 이미지 분석에 시적 사유를 촉발하는 철학적 논의가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주고자 했다. 결과적으로 전체로서의 시 한 편을 통해 부분으로서의 이미지의 단위와 작동과정에 대한 분석과 사유를 통해 21세기 이미지 시론을 전개할 수 있었다.

more

초록/요약

The images of today operate as like as screens in our brains. They are not sensed as like as instant and unmovable pictures or photos but thought as like as durable and movable images of cinemas or holograms. By revealing the movability, relatedness, spatiality and temporality of images, this concept of image becomes essential and basic to make the philosophical thought on pop culture in the 21st century possible, This is the same to the modern poetry into which the dramatic, narrative, and cinematic grammars, in the mixture of poetry with the features of pop culture as a whole, have been impressed naturally. In this sense, the concept of image, as a new paradigm of modern poetry, has to be set up by appropriating Gilles Deleuze's cinematic images. The poetic images of the pure movability of modern poetry are therefo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and each of the types is analyzed by way of illustration. The concept of image is considered by assuming the movability and relatedness of images, and the basic units of analyzing images are presented. The analytic units are of poetic images that have been turned into the plan(frame)/scene/montage. On this ground, four poetic images are considered as follows. In Kim Gwanggyun's “A Lyric of an Autumn Day” and Kim Jongsam's “A Drumming Boy,” the perception-image outlines the whole of things which are intermingled with sensation, mind, consciousness, and memory. In Yi Yongak's “A Shabby House” and Jang Seoknam's “A Nostalgic Side of Rillet,” the action-image pursuits the communicative and performative mov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verbalized ‘gestures.’ In Choi Seungja's “Cheonggyecheon Elegy” and Heo Sugyeong's “A Far-off House to Go Alone,” the affection-image closes up the forms, qualities, and situations as situational properties as emotions, sensitivities, sentiments, and impulses. In Yi Sang's “Crow's Eye View: the 13th Poem” and Kang Sungeun's “Ghost,” the cristal-image thinks the indiscernible point that is organic and impossible to describe realistically. With the concepts and typification of images useful to analyze, the poetics of images in new paradigm is tried by illustrating typical poems of Korean modern poetry. In this point, a possibility of the philosophic discussion to trigger poetic thoughts from the analyses of poetic images presents itself through the concept of image which is characterized by movability, relatedness, spatiality, and temporality. In conclusion, the poetics of images in the 21st century is to develop itself by its analyses and thoughts of the imaginal units and processes of images as parts of one pome as a whol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