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혐오시대의 문화예술교육: 문화적 관용의 한계와 문화예술교육의 역할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the Age of Hatred: Limitations of Cultural Tolerance and the Rol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초록/요약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blems of hate and exclusion in modern society, which have been obscured by the emphasis on the positive aspects of cultural diversity. And it pays attention to the reduction effect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on cultural hatred. Focusing on the music genres that have been reported to most directly reveal individual tastes among various cultural genres,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to see how culture and art education affects the number of disliked music genres and lowering the probability of dislike of each music genr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culture and arts education had a greater effect on reducing overall musical hatred compared to the general education level. In addition, it was derived that the individual's cultural tolerance is more influenced by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not by the individual's socio-economic status variables. Through this, this study argued that the spread and deepening of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olicy is more necessary than the redistribution policy of financial resources in solving the problem of social inequality through culture. At the same time, however, it revealed that Korean omnivores are still exclusive about genres favored by the elderly with low education such as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tro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genre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implement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policies to reduce hate in the future.

more

초록/요약

이 연구는 그 동안 문화다양성의 긍정적 측면에 대한 강조에 가려져 눈에 띄지 않았던 우리 사회의 혐오와 배제의 문제, 그리고 문화적 혐오에 대한 ‘완화제’로서 문화예술교육이 갖는 효과에 주목한다. 다양한 문화장르들 중 개인의 취향을 가장 직접적으로 드러내 준다고 보고된 음악장르에 초점을 맞춰 싫어하는 음악장르의 수를 줄이고, 또 각각의 음악장르를 싫어할 확률을 낮추는 데 문화예술교육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분석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 일반적인 교육수준에 비해 문화예술교육이 전반적인 음악적 혐오를 감소시키는데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개인의 문화적 관용도가 월가구소득, 가구계급과 같은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변수가 아닌 문화예술교육 여부에 더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는데, 이를 통해 문화를 매개로 하는 사회불평등 문제 해결에 있어 금전적 자원의 재분배 정책보다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확산과 심화가 더욱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동시에 문화적 관용도가 높은 한국의 옴니보어들이 국악과 트로트 같은 저학력 고령층의 선호 장르에 대해서는 여전히 배타적인 모습을 보인다는 점을 밝혀 향후 혐오 감소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정책 시행에 있어 장르적 특성을 고려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