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경제활동 인구 대상 한국형 삶의 균형 척도 타당화 연구

Korean Life Balance Scale Validation Study Among 20-50 Years Old Who Actively Engage in Economic Activities

초록/요약

본 연구는 한국인의 삶의 균형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Matuska(2012)의 Life Balance Inventory를 번안 및 수정하여 20세-49세 경제활동 인구를 대상으로 한국형 삶의 균형 척도를 타당화하였다. 연구 1에서는 대학생과 직장인 305명(표본 1)을 대상으로 번안한 원척도 문항에 대한 예비검사를 실시하였다.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원척도가 제시한 건강, 관계, 정체성, 도전의 4요인에서 보다 세분화된 9개의 요인으로 나타났다. 연구 2는 표본 1과 유사한 성격을 지닌 대학생과 직장인 310명(표본 2)를 대상으로 본검사를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는 예비검사의 결과와 동일하게 9개의 요인구조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원척도의 건강영역은 기본적 삶유지 요인, 관계영역은 안정적 관계와 새로운 관계 요인, 정체성영역은 개인적 성장과 사회적 성장 요인, 도전영역은 역량개발, 탐험, 취미 그리고 자기표현의 요인으로 세분화되어 나타났다. 준거타당도는 주관적 안녕감, 자율성 기본심리욕구, 삶의 의미발견, 삶의 만족도, 스트레스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삶의 균형을 연구할 수 있는 측정 도구를 한국형으로 타당화하여 우리사회에 중요한 화두인 균형있는 삶의 국내 연구 확산을 가능하게 한 의의가 있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the Korean Life Balance scale using Matuska’s (2010) Life Balance Inventory among 20-50 years old who actively engage in economic activities. In Study 1, we performed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ith 305 college students and employees (Sample 1) after translating and revising the original scale items in Korea. As result, a 9 factor model was supported. The 9 factor model was corresponded with the original 4 factor model. In Study 2, we cross-validated the result of study 1 with 310 college students and employees (Sample 2).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e 9–factor model from study 1.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confirmed: the Korean Life Balance Scal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autonomy basic psychological need, found of meaning in life, and life satisfac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Korean Life Balance scale is a reliable and valid measure for assessing life balance in Korea.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