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학생의 마인드셋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저소득층 여부에 따른 다집단분석

The Effects of Mindsets on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Mediated by Academic Self-Efficacy : Multi-Group Analysis According to Whether the Students Are In Low-Income Families or Not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마인드셋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학생들의 저소득층 여부에 따른 모형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경기교육종단연구(GEPS)」2016년 조사의 중학교 2학년 자료를 가구 소득에 따라 저소득층 489명, 비저소득층 4,842명으로 분류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변인들 간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으며, 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이후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여 저소득층 집단과 비저소득층 집단 간의 모형 차이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중학생의 고정 마인드셋이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다집단분석 결과, 수학 과목에서 고정 마인드셋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거쳐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저소득층 집단의 경우 비저소득층 집단과 달리 고정 마인드셋이 수학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저소득층 집단의 경우 비저소득층 집단에 비해 학업적 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이르는 경로 계수가 더 높았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저소득층 학생들의 경우 수학 학습에서 효능감, 정서, 동기 등의 정의적 영역이 학업성취도 증진에 중요한 부분임을 시사한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mpact of a middle school student's fixed mindse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to examine the model differences depending on students’s SES. For this purpose, data of 5,543 middle school second grade students in Gyeonggi Education Penal Study 2016(GEPS 2016) were used for analysis. SEM analysis and bootstrapping was performed and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model between low-income and non-low-income group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wo groups in the path from academic self-efficacy to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n the way in mathematics. In low-income group, fixed mindse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achievement of mathematics. This study suggests that in the case of low-income students, learning-affective domains such as self-efficacy, emotion, and motivation are important in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