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밀레니얼 세대 여성 사무직 종사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일과 생활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고용가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ffect of the Protean Career of the Female Office Workers in the Millennial Generation on Work-Life Balance: The Mediating Effect of Employability

초록/요약

이 연구의 목적은 밀레니얼 세대 여성 사무직 종사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일과 생활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일과 생활의 균형 관계에서 고용가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업종에 종사하는 1980년∼2000년 사이에 태어난 밀레니얼 세대 현직 여성 사무직 종사자 중에 268명을 표집하여 최종적으로 총 251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프로티언 경력태도는 일과 생활의 균형의 하위요인인 일-가정 균형, 일-성장 균형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일-여가 균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일-가정 균형의 관계에서 내부 고용가능성은 정(+)의 매개효과를 나타냈으며, 외부 고용가능성은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일-성장 균형의 관계에서는 내부 고용가능성과 외부 고용가능성 모두 정(+)의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밀레니얼 세대 여성 사무직 종사자가 일과 생활의 균형을 이루기 위해서는 프로티언 경력태도를 갖는 것이 중요하며, 조직에는 구성원들이 고용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도록 조직문화 구축의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이 연구는 밀레니얼 세대 여성 사무직 종사자의 일과 생활의 균형을 이루기 위한 방안으로 경력개발 변수를 도입했다는 점과 인사관리 측면에서 실무적 활용 방안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protean career attitudes of the millennial female office workers on their work-life balance and the mediation effect of employability. For a questionnaire survey, this study sampled female office workers currently in employment, who were born in the millennial generation (the period between 1980 and 2000). Two hundred fifty-one responses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tean career attitude had a positive(+) effect on work-family balance and work-growth balance by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work-leisure balance. Second, in the relation of the protean career attitude and work-family balance, internal employability had a positive(+) mediation effect, while external employability had no mediation effect. Regarding the protean career and work-growth balance, both internal and external employability had a positive(+) mediation effect. These study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he protean career attitude for the female millennial office workers to achieve work-life balance, as well as that of the necessity of constructing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raises employees' awareness of employabil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troduced a career development variable to achieve work-life balance of the millennial female office workers and provided practical measures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