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체육활동 참여 정도와 장애수용의 종단적 상호인과관계 : 지체, 청각, 시각장애를 중심으로

Longitudinal Analysi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ticipation Degree of Physical Activity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Multigroup Analysis across the Type of Disabilities.

초록/요약

이 연구는 후천적 장애인의 체육활동 참여정도가 장애수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종단적 인과관계를 검증하고, 장애유형별(지체, 청각, 시각) 차이는 어떠한지 검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자료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에서 조사한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 중 1, 2, 3차년도 자료(2016~2018)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종단적 인과관계 분석을 위하여 3차년도 계속 응답자로 분석대상을 제한하였다. 이 중 만 20세 이상 59세 이하의 후천적 지체, 청각, 시각 장애인 자료를 선별하였으며, 변수로 사용한 문항에 응답 누락이 없는 892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tata 15.1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패널선형회귀모형(Panel Linear Regression Model)으로 추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장애인의 체육활동 참여정도를 운동시간, 운동빈도로 구분하였는데, 선행시점의 운동빈도는 후행시점의 장애수용에 영향을 미쳤으나, 선행시점의 운동시간은 후행시점의 장애수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운동빈도→장애수용). 둘째, 지체장애인의 경우, 선행시점의 운동빈도는 후행시점의 장애수용에 영향을 미쳤으나, 역으로 선행시점의 장애수용은 후행시점의 운동빈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지체: 운동빈도→장애수용). 셋째, 청각장애인의 경우, 선행시점의 운동빈도는 후행시점의 장애수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역으로 선행시점의 장애수용은 후행시점의 운동빈도에 영향을 미쳤다(청각: 장애수용→운동빈도). 넷째, 시각장애인의 경우, 선행시점의 운동빈도는 후행시점의 장애수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선행시점의 장애수용 역시 후행시점의 운동빈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시각: 상호 인과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 이러한 결과는 장애인의 체육참여가 장애수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종단적 자료를 통해 입증하였으며, 장애유형에 따른 체육참여와 장애수용의 인과관계에 관한 실증자료를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articipation degree of physical activity (PDPA)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AD),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disability types (i.e. physical, hearing, visual impairments) with respect to this relationship. For this study, 2016, 2017, and 2018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in Korea (PSED) were used. The potential pool of participants included 4,161 people with disabilities. However, some participants were removed due to being unresponsive to all three-year surveys, resulting in a total 892. The data were analyzed by Panel Regression Model using STATA Ver. 15.1. First, PDPA (i.e. exercise time and frequency) and AD were stable. First, exercise frequency positively influenced AD but exercise time did not. Second, although exercise frequency positively influenced AD, AD did not influence exercise frequency among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ird, although exercise frequency did not influence AD, AD positively influenced exercise frequency among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s. Fourth, exercise frequency did not influence AD and AD did not influence exercise frequency among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These results clarify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PDPA and AD across disability types. This study suggests that exercise frequency plays a significant role in improving AD among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