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신문 사설에 나타난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유치원 방과 후 영어 금지’ 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n englis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newspaper editorials: focusing on the policy of ‘banning after-school-english-education-programs in kindergarten’

초록/요약

본 연구는 신문사 사설에 나타난 유아 영어교육담론과 그 의미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2017년 9월 1일부터 2018년 4월 30일까지 3대 주요 일간지(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에 게재된 사설 총 17건이며,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Critical Discourse Analysis)을 분석의 틀로 적용하여 신문 사설에 드러난 유아 영어교육의 의미화 과정, 담론 형성 과정, 사회·문화적 실천을 살펴보았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설 텍스트는 유아 영어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유치원 방과 후 영어 금지 정책'을 여론 수렴 과정을 거치지 않은 정부의 일률적인 통제로 의미화 하였다. 둘째,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정부의 담론은 아동중심교육담론, 사회양극화담론이며, 이는 세계화담론, 역(逆)사회양극화담론, 공교육무용담론과 대립하고 있었다. 셋째,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담론은 사회·문화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변증법적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 영어교육 및 교육정책에 대한 논의가 ’유아‘와 ’교육‘을 중심으로 이뤄져야 하며, 보다 균형 잡힌 논의를 위해서는 담론을 형성하는 대중매체의 영향력에 대한 비판적인 태도 및 사회·문화·역사적 맥락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more

초록/요약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scourses on Englis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newspaper editorials and its meaning. A total of 17 editorials published in the three major daily newspapers (Cho-Sun Ilbo, Joong-Ang Ilbo and Dong-A Ilbo) between September 1, 2017 and April 30, 2018 were selected for analysis. By applying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s the framework of analysis, we examined the signifying process of Englis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discourse formation process, and social and cultural practice revealed in the newspaper editorial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texts emphasized the need for Englis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described the ‘policy of banning after-school-English-education-programs in kindergarten’ as the indiscriminate control of the government that has not gone through the process of collecting public opinion. Second, the government’s discourses on Englis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ere based on the child-centered education discourse and the social polarization discourse, and these competed against the globalization discourse, the inverse-social polarization discourse and the uselessness of public education discourse. Third, the discourses on Englis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had dialectic relationships with the society and cultur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iscussions on Englis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education policies should be centered on “child” and “education”.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for more balanced discussions, critical attitudes toward the influence of the media that form discourses and consideration of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contexts are need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