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섹스로봇과 상징적 재현의 문제

The Problem of Symbolic Representation with Sex Robots

초록/요약

최근 우리나라에서 리얼돌에 대한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성인용품과 관련하여 우리나라에서 이처럼 뜨거운 논의가 진행된 적은 없었던 듯하다. 리얼돌에 대한 위와 같은 지적들은 앞으로 등장할 섹스로봇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반론들이다. 본 논문은 섹스로봇과 관련지어 위와 같은 반론들을 검토하고, 섹스돌을 사회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방안의 가능성을 가늠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먼저 캐슬린 리처드슨(Kathleen Richardson)의 견해를 중심으로 섹스로봇의 도입과 관련된 찬성이나 반대의 이유를 살펴보고 그 정당성을 평가한다. 리처드슨의 비판이함축하는 가장 중요한 논점은 섹스로봇이 갖는 상징성이다. 섹스로봇은 여성을 성적 대상화하여 성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조장하며, 성과 관련된 동의 규범을 무시하는 상징이라는 비판이 그것이다. 본 논문은 특히 상징성에 입각한 섹스로봇에 대한 비판을 중점적으로 살펴보면서, 이러한 비판을 우회할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를 고민한다.

more

초록/요약

Recently, there has been a debate about Real Doll in Korea. It seems that there has never been such a hot discussion in Korea regarding adult products. The above criticisms on real dolls are objections that can be applied to sex robots that will appear in the future. This paper examines those objections in relation to sex robots, and tries to assess the limit of the individual's sexual freedom that can be socially recognized.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reasons for favor or disagreement related to the introduction of sex robots, centering on Kathleen Richardson's view, and evaluates its justification. The most important issue implied by Richardson's criticism is the symbolism of sex robots. It is criticized that sex robots are a symbol that promotes distorted perception of sex by sexually objectifying women, and that ignores the norm of gender-related consent norm of sex. This paper focuses on criticism of sex robots based on symbolism in particular, and considers how to circumvent such criticism.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