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부차 개념의 통사적 실현과 보조동사 구문

The Syntactic Realization of Secondary Concepts and Auxiliary Verb Constructions in Korean

초록/요약

본고는 범언어적 관점과 문법화의 관점에서 한국어 보조동사 구문의 의미와 통사 구조에 대해 논의한다. 한국어는 다른 동사를 의미적으로 수식하는 부차 개념이 동사로 실현된 부차 동사 중에서 독자적인 의미역할을 지니지 못하고 주동사의 의미역할과 통사적 관계를 공유하는 유형만이 보조동사에 대응된다. 한국어 보조동사는 위치, 상태, 소유의 유지 및 변화, 그리고 생산, 지각, 반복의 활동이라는 근원 개념과 관련되어 있다. 한국어 보조동사 구문은 부동사 구성에서 두 절 사이의 통사적 응집성이 강화되어 발달하기 시작하고 이어서 중심 사건이 전이되고 단문화하는 과정을 거쳐 형성된다. 의존동사라 하더라도 주동사와 보조동사의 이중적 역할을 상정할 수 없거나 의미 탈색이 진행되지 않은 경우, 주동사와 상이한 사태를 지시하여 의미상 독립적이거나 복문의 서술어인 경우는 보조동사에 속하지 않는다. 보조동사는 의미 탈색 정도, 주동사의 제약, 결합 단위의 확대 양상, 보조동사들 사이의 결합 순서 등에 따라 상이한 발달 단계를 상정할 수 있다.

more

초록/요약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meanings and syntactic structure of Korean auxiliary verb construc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cross-linguistics and grammaticalization. Secondary concepts provide semantic modification of some other verbs, and they can be realized as verbs. In Korean only secondary verbs which don’t have any independent semantic roles, and share the semantic roles and syntactic relations with main verbs correspond to auxiliary verbs. The source concepts of Korean auxiliary verbs are related to [hold] and [change] of [position], [state], [possession], and [activity] of [production], [perception], [repetition]. Korean auxiliary constructions begin to develop from converbal constructions through syntactic cohesion, and then undergo clause fusion from a biclausal to monoclausal structure, the conceptual shift of main event. Some dependent verbs can’t be judged to be auxiliary verbs, which don’t have a twin role, show a weak semantic bleaching, don’t modify the meaning of other verbs, participate as a predicate of complex sentences. Auxiliary verbs have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according to their semantic bleaching, the constraint on main verbs, their syntactic scopes, the combinatorial order between them.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