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한국 현대 조각에 나타난 조각 개념의 변모 -독립적인 오브제에서 ‘오브제-환경’으로-

Changes in Definition of Sculpture in Modern Korean Sculpture -from isolated object towards ‘object-environment’-

초록/요약

전통적으로 조각은 구체적인 물질로 이루어진 삼차원적 형태로서 그 실재 볼륨만큼 공간을 점유하는독립적인 오브제라고 정의되어왔다. 그러나 한국 현대 조각가들은 조각을 받침대로부터 내려놓고 조각과 관람자 모두를 포함하는 ‘오브제-환경’이라는 새로운 조각적 표현을 한다. 이는 오브제가 환경으로 변모된 실재 공간이자 감각적인 공간으로, 독립적인 오브제로서의 조각 개념에 대한 재고를 필요로한다. 이런 배경 속에서 독립적인 오브제로서의 조각이 어떻게 ‘오브제-환경’으로 변모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1990년대 이후 오브제로서의 조각이 환경으로 변모하는 특징이 명확한 작품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오브제-환경은 물질로 이루어진 오브제에 비물질적 요소를 결합시킬 때 생성되는 비물질적 볼륨이 조각의 공간성을 확장시킴으로써 구축된다. 빛이 부유하는 공간, 소리가 조성하는 음향 공간, 움직임에 의한 가상적 볼륨 등이 관람자를 둘러싸는‘환경’을 창조하는 것이다. 둘째, ‘오브제-환경’은 조각이 관람자와 필연적으로 관계를 맺도록 하는 설치 방식을 통해 구축된다. 조각의 공간성이 관람자의 공간으로 연장되어 관람자가 조각과 동일한 무대에 있거나 어떤 상황에 있는 것으로 인식하게 되는 ‘환경’을 창조하는 것이다. 결과, ‘오브제ㅡ환경’의의미는 기존의 조각의 의미가 작품 내부에 있었던 것과 달리 관람자가 실재 시간에 작품을 신체로 체험하는 공적 공간에서 만들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그동안 조각 외적인 요소였던 관람자와 시간성이 조각의 중요한 존립 요건이 되었음을 알려준다. 이와 같이 ‘오브제-환경’은 공간예술이라는 규정아래 주변 공간과는 무관한 ‘독립적인 오브제로서의 조각’이라는 조각의 전통적 정의에 도전하면서 조각의 패러다임을 새롭게 구축하였다.

more

초록/요약

Traditionally, sculpture has been defined as an isolated object occupying space as much as its real volume as a three-dimensional form of concrete material. However, Korean modern sculptors are engaging in a new sculptural expression called ‘object-environment’, which takes the sculpture down from the pedestal to embrace both the viewer and the sculpture. It is an actual and sensuous space where the object transforms into the environment, bringing forth the need to revisit the concept of sculpture as an isolated object. With this in mi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sculpture as an isolated object transforms into an ‘objectenvironment’. To achieve this, we have selected and analyzed sculptural works since the 1990s which clearly display the transformation from object to environment. First, the ‘objectenvironment’ is constructed when the immaterial volume created by combining immaterial elements with a material object expands the space of sculpture. This is to create an environment surrounding viewers with light-floating space, audio space created by sound, and virtual volume formed with movement. Second, the ‘object-environment’ is constructed by the installation methods for making a sculpture inevitably related with viewers. This is to build an ‘environment’ in which the sculpture space extending to the viewer's space makes them perceive they are in the same stage as the concerned sculpture or in a certain situation. As a result, we have learned that unlike existing sculptures where the meaning lies within the sculpture itself, the real meaning of an ‘object-environment’ is formed in the public space where the viewer physically experiences the work in actual time. This tells us that the viewer and temporality, which have always been external elements of sculpture, have now become vital parts of it. As such, ‘object-environment’ established a new paradigm of sculpture by challenging the traditional definition of ‘sculpture as an isolated object’ unrelated to its surroundings, as predefined in spatial ar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