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여성 고용 안정화를 위한 유연근무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of the Flexible Working System for Stabilization of Women's Employment

초록/요약

This study seeks ways to stabilize women's employment as well as work-life balance through a worker-centered flexible work system. Based on the inclusiveness and intensity of the flexible work system, the status of utilization was analyzed, through which three categories were derived. First, the “autonomy-oriented flexible work” category allows all employees to use the system, and workers have a high degree of autonomy in their use of time. While the “universal flexible work” category permits most employees to use the system, available types of the category are limited and the guarantee of autonomy in the use of employees’ time is weak. Lastly, the “limited flexible work” category is open to only some employees, and there are also many restrictions on autonomy in the use of their time. As a result of the study, a hybrid type of flexible work scheme was proposed to stabilize women’s employment, and emphasis was placed upon the need for corporate and government-level efforts in order to expand the scope of users and the level of autonomy. Furthermore, systems need to be expanded based on the needs of workers, and organizational culture needs to be changed likewise.

more

초록/요약

이 연구는 여성의 낮은 고용률과 일ㆍ가족 갈등의 핵심을 ‘시간’이라고 보고, 근로자 중심의 유연근무제를 통해 일ㆍ생활 균형과 여성 고용을 안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연근무제 활용 기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유연근무제의 포괄성(근로자의 범위)과 강도(시간 사용의 자유로운 정도)를 기준으로 활용실태를 분석하고, 3가지 유형을 도출하였다. 먼저 ‘자율지향적 유연근무’ 유형은 전 직원의 제도 사용이 가능하고, 근로자의 시간 자율성이 높다. ‘보편적 유연근무’ 유형은 대부분의 직원이 제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제도의 종류가 제한되어 있고 시간 자율성의 보장도 약한 수준이다. ‘제한적 유연근무’ 유형은 일부 직원에게만 제도가 열려있고, 시간 자율성에서도 제약이 큰 수준이다. 연구 결과, 여성 고용 안정화를 위해 혼합형 유연근무제를 제안하고, 사용자 범위 및 자율성 확대를 위한 기업과 정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근로자의 요구에 기반해 제도가 확대되어야 하며, 이와 함께 조직문화 변화가 필요하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