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다문화가정의 이중언어환경과 다문화가정 유아를 위한 교육적실행에 관한 교사의 인식

Teachers’ perception of the bilingual environment and educational practices for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초록/요약

본 연구는 이중언어환경과 다문화가정 유아를 위한 교육적 실행에 대해 교사의 인식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참여자는 경기 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다문화가정 유아를 담임하는 교사 9명이며, 자료수집은 심층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이중언어환경에 대해 교사의 인식은 의사소통 부재의 원인으로 바라보기, 적응을 목적으로 이중언어 배제하기, 이중언어 발현을 수용하기, 미래의 자산으로 바라보기, 성장의 가능성을 인식하기로 분류되었다. 이는 교사가 이중언어환경에 대해 잠재된 언어의지위를 민감하게 인식하고, 다문화가정 유아의 이중적 정체성이 우세한 언어에 압도되는것을 주의하며 개방적으로 인식을 확장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교사는 다문화가정을 위해 정서적 지지하기, 자립하도록 일과를 배치하기, 상호문화경험 계획하기, 의사소통 확장하기, 가정과 연계하기로 교육적 실행을 한다고 보았다. 이를 통해 교사는 다문화가정의 유아에게 기관에 적응이나 권리향상을 위한 교육보다 미래적 인식을 가지고, 유아의언어, 인지, 정서발달까지 고려하며 교육적 실행을 확장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로 급격히 변화하는 우리 사회에서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이 이중언어환경을 개방적으로인식하고, 다문화가정의 유아를 위한 교육적 전략을 확장하여, 미래의 다문화 정체성을 지닌 인재를 양성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eachers’ perception of educational practices for thebilingual environment an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this end, nine teacherswho worked with young multicultural children at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located in Gyeonggi were recrui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to collect data. Theresearch results categorized by type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bilingualenvironment was classified into “seeing as the cause of lack of communication,” “excludingbilingualism for the purpose of adaptation,” “embracing the manifestation of bilingualism,”“seeing as a future asset,” and “recognizing the possibility of growth.” This means that teachersneed to be sensitive about the potential status of language for the bilingual environment, tonote that the dual identity of multicultural children is overwhelmed by the prevailing language,and to expand and open their minds. Second, the educational practices for young multiculturalchildren consisted of “providing emotional support,” “arranging routines for children’s selfreliance,”“planning intercultural experiences,” “expanding communication,” and “connectingwith families.” Through this, the teachers are able to carry out educational practices by takinginto account the linguistic, cognitive,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a futureawareness going beyond providing education for coping with the problem of the bilingualenvironment or improving right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providing implications that earlychildhood teachers need to have an open mind to the bilingual environment while our societyis rapidly becoming more multicultural and to promote educational strategies for children frommulticultural families in order to foster future talents with a multicultural identit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