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국내 난민들이 경험한 도움의 의미

Meaning of help among refugees in Korea

초록/요약

본 연구는 국내 난민들이 경험한 도움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 문화적 민감성에 기반한 난민 당사자 중심의 사회복지 실천 및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20년 10월 한 달 동안 국내 난민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한 후, 일반적 질적 연구에서의 주제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재(不在) : 허공에 도움을 요청하는 난민’, ‘불완전존재(不完全存在) : 비공식 체계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난민’, ‘공존(共存) : 한국과 모국을 위해 기여하는 난민’이라는 3개의 상위범주와 6개의 하위범주, 12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국내 난민들이 경험한 도움의 의미 핵심주제는 ‘수혜적 존재에서 호혜적 존재로의 전환’이다. 이를 통해 초기 정착과정에서의 적극적이고 개별화된 정보제공 및 자원연계, 난민 임파워먼트를 위한 난민원조직 교육‧훈련, 한국사회 내 사회자본 형성 지원이라는 사회복지적 함의를 도출하고 이에 대해 문화적 민감성에 기반한 접근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help among refugees in Korea,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culture-specific practice and policy.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in October 2020 with five refugees in Korea and used thematic analysis in general qualitative research. As a result, three main themes, six sub-themes, and 12 semantic units were derived. Three main themes were ‘Absence: Refugees who ask for help in vacuum.’ ‘Incomplete being: Refugees with only informal support systems while being excluded from formal systems’, ‘Coexistence: Refugees who contribute to Korea and their motherland.’. The key theme of the meaning of help experienced by refugees is the shift from a beneficiary of help to a donor of help. Based on the results, authors presented social welfare implications such as active and individualized provision of information and resource linkage at the beginning stage of their settlement, empowerment education and training for staff and professionals at refugee organization, and support for social capital formation in the Korean society with cultural sensitivit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