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국내 창의적 교육환경 연구 동향 분석

Research Trends in Creative Educational Environment in Korea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진행된 초중고 대상 창의적인 교육환경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향후 연구 및 설계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학술지 데이터베이스(RISS)를대상으로 2011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게재된 논문 대상 ‘초중고’, ‘창의적인 교육환경’을 중심어로 1차 검색을 하고, 창의적인 교육환경과 관련된 논문 중 학위 논문, 특정 교과와 관련된 논문을 제외하여 2차적으로 추출하였다. 최종 선정된 42개의 논문을 연도별, 학술지별, 구내용별, 연구방법별, 측정변인별, 측정도구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창의적인 교육환경 연구는 2015년에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학교환경과 가정환경이 모두 연구되었으나, 또래환경이나 물리적 환경 측면에서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또, 학교급별로는 등, 중등, 고등 순으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고, 연구방법으로는 양적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측정변인 분석에서 독립변인으로는 ‘창의적 가정환경’과 ‘창의적 학교환경’이 가장 많이 분석되었으며, 종속변인으로는 ‘창의성’이 가장 많았다. 측정도구는 특정한 동향이 보이지 않고, 연구자가 필요에 따라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초중고 대상 국내 창의적인 교육환경 연구 및 환경설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cent trends in the research of the creative educational environment in Korea.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are all journal articles published from 2011 to 2020. he primary 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creative education environment’. Second, the dissertation and articles with the specific subject were excluded.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he largest number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2015. Both school and home environments have been studied, but there was a lack of research about peer and physical environments. Second, research was conducted most frequently in elementary school followed by middle, and high school in the respective order. Third, quantitativ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t most and ‘creative family environment’ and ‘creative school environment’ were chosen most frequently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creativity’ was chosen most frequently as the dependent variable. Fourth, no specific measurement tool trends were found.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research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on creative educational environmen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