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제3의 공간’으로서의 서점 공간디자인 경향 연구

A Study of the Tendencies of Bookstore Space Design as the Third Place in the Age of Digital Transformation

초록/요약

(Background and Purpose)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interest in the “The Third Place” of modern people, who are tired of communication, digital addiction, and human alienation, has increased rapidly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s a result, the function and meaning of the bookstore are being renewed as “The Third Place” where you can rest in leisure beyond the space of sales. This study recognizes the need for bookstores with third spatial characteristics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bookstore space design as a third space in the future. (Method) To discuss the bookstore as “The Third Place,” this study first conducted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two. It, then, summarized Ray Oldenburg's concept and eight characteristics, which became the basis of the theory for “The Third Place.” After that, through prior research analysis, openness, territoriality, and experience in terms of spatial composition were organized into accessibility, comfort, and amusement in terms of space usage. The analysis framework was derived and among them, spatial design trends in bookstores since 2015 were analyzed only in terms of spatial composition. (Results) As a result of the case analysis, first, the bookstore space is located on the first floor or basement of a building with excellent accessibility to secure physical and visual openness that causes visual exchange between the outside and the inside with transparent glass. Second, it forms physical territoriality with vertical boundaries, such as high shelves or walled seats, which cover the view when seated, and it forms cognitive territoriality through horizontal elements, such as material on the floor or changes in height. Third, each bookstore could form entertainment experiences, educational experiences, escape reality experiences, and aesthetic experiences with different concepts in different spaces. (Conclusions) Suggestions on the design of modern bookstores with third spatial characteristics shall be as follows. First, it should be located at the entrance or underground space of the building to enhance accessibility, and the entrance space of the bookstore space should induce active visual exchange between the outside and the inside by utilizing transparent materials. Second, for comfort, it is necessary to form boundaries by the different shapes and heights of the vertical planes surrounding the space and form cognitive territoriality by horizontal factors such as the height of the floor surface or material changes. Third, to emphasize the amusement, the experience elements should be strengthened and designed as a space where people can feel joy through various spatial programs.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n initial study that suggests the direction of spatial design that the bookstore space should move forward as “The Third Place” that revitalizes the city.

more

초록/요약

(연구배경 및 목적)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에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함께 소통의 단절, 디지털 중독, 인간소외 현상에 지친 현대인들의 ‘제3의 공간’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였다. 이에 따라 서점은 판매 공간을 넘어서 휴식과 여가가 가능한 제3의 공간으로 그 기능과 의미가 새로워지고 있다. 본 연구는 제3의 공간 특성을 가진 서점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향후 제3의 공간으로서의 서점 공간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제3의 공간으로서의 서점에 대한 논의를 위해 제3의 공간과 서점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한 후 제3의 공간의 토대가 되는 레이 올든버그(Ray Oldenburg)의 개념과 8가지 특성을 정리하였다. 그 후,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공간 구성적 측면에서 개방성, 영역성, 체험성, 공간 이용적 측면에서 접근성, 편안성, 유희성으로 정리하여 분석의 틀을 도출해 그 중 공간 구성적 측면을 중심으로 2015년 이후 서점의 공간디자인 경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사례분석 결과 첫째, 서점공간은 접근의 편의성이 뛰어난 건물의 1층이나 지하 1층에 위치하여 물리적 개방성을 확보하며, 투명한 유리 입면으로 외부와 내부의 시각적 교류를 유발하는 시각적 개방성을 확보하고 있었다. 둘째, 착석공간에 앉았을 때 시야를 가려주는 높이의 서가나 벽으로 둘러싸인 좌석과 같은 수직적 경계로 물리적 영역성을 형성하며, 바닥의 재료나 높낮이의 변화와 같은 수평적 요소를 통해 인지적 영역성을 형성하고 있었다. 셋째, 서점마다 다른 공간 컨셉을 적용하여 엔터테인먼트, 교육, 현실도피, 미적 체험을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제3의 공간으로서의 서점 공간 디자인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건물의 1층 또는 지하1층에 위치해야 하며, 서점의 진입공간에 투명한 경계를 적용하여 내·외부의 활발한 시각적 교류를 유도해야 한다. 둘째, 편안성을 형성하기 위해 착석공간에 공간을 둘러싸는 수직면의 다양한 형태와 높이를 적용하여 경계를 형성하고, 바닥면의 높낮이나 재질의 변화와 같은 수평적인 요소를 통해 인지적 영역성을 형성해야 한다. 셋째, 유희성을 강조하기 위해 체험요소를 강화하고 다양한 공간프로그램을 통해 사람들이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디자인해야 한다. 본 연구는 도시에 활기를 부여하는 제3의 공간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서점 공간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는 기초 연구로서 의의를 가진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