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온라인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들의 사회성 기술과 학급분위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Using Online Cooperative Learning on Social Skills of Students and Class Climate in Elementary Inclusive Classes

초록/요약

연구목적: 본 연구는 온라인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사회성 기술 및 학급분위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연구참여자는 서울 N초등학교 5학년 통합학급 학생 82명으로, 이 중 41명은 실험집단, 41명은 통제집단으로 참여하였다. 온라인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을 총 12회기에 걸쳐 연구자가 진행하였으며 매 회기 장애학생을 위한 개별지원을 제공하였다. 두 집단 간 사회성 기술과 학급분위기 변화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기 위하여 사전, 사후검사의 차이를 독립표본 t 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장애학생의 변화 정도는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산술적 변화 추이를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실험집단 비장애학생의 사회성 기술의 총점 및 모든 하위영역(협력, 주장성, 자기조절, 공감)의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실험집단 장애학생 또한 통제집단 장애학생의 비해 모든 영역에서 점수가 향상되었다. 둘째, 실험집단 비장애학생이 지각한 학급분위기 총점과 하위영역인 친밀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통제집단 장애학생에 비해 실험집단 장애학생이 지각한 학급 분위기 전체 점수가 증가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장애학생이 포함된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온라인 수업을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온오프라인 수업 방식을 활용하고, 담임교사와의 협력교수를 통해 교육과정과 연계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more

초록/요약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using online cooperative learning on social skills of students and class climate in elementary inclusive classes. Method: The participants included 82 fifth grade students of N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experimental and control-with 41 participants each. The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using online cooperative learning was conducted with 12 sessions by the first author. Individual supports in each session were provided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used to investigat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skills and class climate between the two groups, and the degree of variation amo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examined through arithmetic changes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scores. Results: First, the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using online cooperative learning had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the social skills of students in inclusive classes. Second, the program using online cooperative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total score of class climate perceived by students in inclusive classes and the intimacy among a sub-section of class climate. Con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conducted online classes for all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cluding those with disabilities. Additionally, implications suggest that maximum intervention effects could be achieved by applying various online and offline teaching methods and conducting programs linked to the curriculum through co-teaching by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inclusive class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