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청소년의 일상생활과 행복 간의 관계: 빈곤과 비빈곤 청소년의 비교

Daily Life and Happiness of Adolescents:Comparison of Poor and Non-Poor Adolescents

초록/요약

본 연구는 청소년 일상생활과 행복 간의 관계 특히, 빈곤지위에 따른 청소년 일상생활 차이가 행복의 차이로 이어지는지를 배열분석(sequence analysis)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차 자료인 어린이재단의 아동행복생활시간조사 데이터 중, 시간일지법으로 측정된 자료(청소년 527명)를 사용하였다. 우선 학교시간을 제외한 청소년의 방과 후 시간별 활동을 배열분석방법으로 유형화하였다. 그리고 방과 후 청소년의 생활시간 활동패턴 유형을 독립변수로 이원공변량분산분석을 통해 청소년의 생활패턴 유형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과 빈곤지위에 따른 상호작용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방과 후 생활시간 활동패턴은 혼자공부 집중형, 사교육 집중형, 미디어 병행형, 미디어 올빼미형, 고른 활동형의 5개 유형이 존재하였다. 둘째 방과 후 일상에서 생활패턴 유형은 빈곤지위에 따라 행복감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 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행복에 미치는 생활패턴은 빈곤과 비빈곤 청소년이 다르므로 행복증진을 위해 보완해야 할 청소년 일상에서의 개선요인도 서로 다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종합해 우리나라 빈곤과 비빈곤 모든 청소년들이 현재 행복을 체감하지 못하는 일상에서 벗어나 각자 원하는 더 행복한 삶으로 나아가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veryday life and happiness of adolescents, in particular, to examine whether different daily life based on the poverty status makes a difference in their happiness by using sequence analysis. For this study, the time diary data(n=527) measured in ten minutes with the time log method, as part of ChildFund Korea's Children Happy Life Time Survey, was used. First, excluding the time at school, which are similar in the everyday lives of adolescents, the time after school (4 p.m. - midnight) were classified using the sequence analysis method to identify the patterns of daily life. Then, the sequence pattern types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two-way ANCOVA with interaction. From this method,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mpact on happiness relevant to adolescents' daily patterns and poverty statu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five types of daily life pattern after-school for adolescents. Second, the daily life pattern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appiness according to poverty status. Through this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daily life patterns affecting the happiness are different between poor and non-poor adolescents. Accordingly, policy and practice suggestions were proposed to create a happier society for adolescents both in poverty and not in povert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