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스마트워크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 2010년-2020년 국내・외 양적 연구를 중심으로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of Smart Work: With a Special Focus on Empirical Studies Published in Korea and Abroad between 2010 and 2020

초록/요약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하여 원격근무, 재택근무, 모바일 이동 근무 등 스마트워크를 시행하는 기업들이 증가하는 등 스마트워크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스마트워크 선행연구를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통합적으로 고찰하고, 향후 스마트워크와 관련된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20년 10월까지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스마트워크에 관한 양적 연구 총 85편(국내 연구 55편, 국외 연구 30편)을 선정하여, 연구대상, 스마트워크 정의, 자료 수집 및 분석방법, 변인과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에 스마트워크 개념이 도입되고 본격적 논의가 시작된 2010년 이후 현재까지 관련 연구는 국내·외에서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둘째, 연구 대상은 대부분 기업이나 공공기관 근로자, 공무원 등을 포함한 피고용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분야는 경영학, 과학기술학, 컴퓨터학, 정책학, 행정학 등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스마트워크 연구가 폭넓게 진행되었다. 넷째, 국내 연구에서는 대부분 스마트워크 용어를 사용하였고, 국외 연구에서는 telework가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다섯째, 연구 방법 측면에서는 대다수의 연구에서 횡단연구와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여섯째, 스마트워크는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으로 비슷하게 많이 사용되었으며, 스마트워크가 독립변인일 경우에는 종속변인으로 ‘직무만족’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고, 종속변인일 경우에 예측변인인 독립변인으로는 상당히 다양한 변인들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 방향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on smart work and to suggest the directions of future studies by identifying the trends of smart work in the quantitative research. This study followed Torraco's guidelines (2005, 2016) and selected a total of 85 articles that were published between January 2010 and October 2020. By analyzing the research samples, definitions,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and research results,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quantitative research on smart work has been steadily published since 2010 when the concept of smart work was introduced in Korea. Second, most of the research samples were focused on employees, including workers in companies or public institutions. Third, previous studies on smart work have been conducted in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such as business administration, science&technology, computer science, policy development, and public administration. Fourth, ‘smart work’ was used most frequently in domestic research and ‘telework’ in research abroad. Fifth, most of th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hrough cross-sectional studies and regression analysis. Finally, smart work was used similarly as an independent and a dependent variable, and when smart work was and an independent variable, ‘job satisfaction’ appeared most frequently as a dependent variabl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multiple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implication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