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인터넷 카페를 활용한 놀이코칭이 어머니의 반응적 상호작용행동과 어머니-장애유아 간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Internet-Based Play Coaching on Mothers’ Responsive Interaction Behaviors and Social Interaction Between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Mothers

초록/요약

본 연구는 자녀와의 상호작용 및 놀이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인터넷 카페를 활용하여 놀이코칭을 제공하고, 이 중재가 어머니의 반응적 상호작용행동과 어머니-장애유아 간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장애유아와 그 어머니 3쌍이다. 인터넷 카페를 활용한 놀이코칭은 반응적 상호작용전략에 대한 설명 및 자녀의 놀이장면을 포함하는 교육영상과 어머니가 탑재한 놀이 영상에 대한 피드백으로 구성하였다. 중재는 5주간 주 2회씩(교육영상 1회, 피드백 1회) 실시하였으며, 6주부터는 피드백만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고, 기초선, 중재, 유지의 모든 회기 동안 어머니-장애유아가 가정에서 자유롭게 놀이하는 영상을 인터넷 카페에 탑재하는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에 참여한 어머니 모두의 반응적 상호작용행동 수행률이 증가하였고 세 쌍의 어머니-장애유아 간 사회적 상호작용 발생률이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중재 종료 후에도 유지되었다. 연구 결과가 장애유아와 어머니를 위한 놀이코칭에 가지는 의의를 논의하고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internet-based play coaching on mothers’ responsive interaction behaviors and social interaction between the mothers and thei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ee mothers and thei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ttending a kindergarten or a childcare center in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intervention consisted of training videos on responsive interaction strategies and the subsequent feedback sessions for mothers. Using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participants, the intervention was provided twice a week for five weeks and feedback only session was provided from sixth week. Data analyses were based on the mother-child play videos taken and uploaded by mothers. The results showed that mothers’ responsive interaction behaviors and social interaction between mother-child dyads were enhanced and maintained in all participants. Finally, discussions of th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ovid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