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국내 조현병스펙트럼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 집단미술치료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Meta-Analysis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Group Art Therapy for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pectrum Disorder in Korea

초록/요약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group art therapy for patients with schizophrenia through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 addition, the study provides data for the application of practical intervention methods by showing the scientific bases. To this end, the domestic studies published up until September 2020, were reviewed under PRISMA criteria, and the results of the meta-analysis of the final 25 studies selected were as follows. The effect size of group art therapy for patients with schizophrenia was 0.819 and it means significant in the effect. In the case of dependent variables among the intervention-related characteristics, the effect sizes of other areas, positiv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reas, sociality, ego, schizophrenic symptoms, and negativ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reas were shown to be large in order accordingly. What is more, the differences of the effect size between the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ase of moderating variables among the intervention-related characteristics, the difference of effect sizes between specific media and techniques and mixed media and techniqu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between other moderating variables the difference of effect siz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provides directions for clinical settings based on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individual studies pertaining to the use of group art therapy for patients with schizophrenia.

more

초록/요약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통해 조현병스펙트럼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 집단미술치료의 효과성을 알아보고, 종합적이고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실천적 개입 방안의 마련과 적용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9월까지 국내에서 발행된 연구를 대상으로 PRISMA 선정기준을 거쳤으며, 선정된 최종 25편을 Comprehensive Meta Analysis 2.0을 사용하여 메타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현병스펙트럼장애 환자에 대한 집단미술치료의 전체 효과크기는 0.819로 나타났으며, 이는 효과크기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중재특성 중 종속변인의 경우에는 기타영역, 심리/정서의 정적영역, 사회성, 자아, 병리증상, 심리/정서의 부적영역 순으로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중재특성 중 조절변인의 경우에는 특정매체 및 기법과 혼합매체 및 기법 사이에서 효과크기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나머지 조절변인의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조현병스펙트럼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적용된 집단미술치료의 개별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근거를 기반으로 한 임상현장에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