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모성의 의무에서 재생산 권리로: 「모자보건법」의 비판적 검토 및 개정방향 모색

From Mother’s Obligation to Reproductive Rights: Critical Analysis of Mother and Child Health Act in South Korea

초록/요약

This article examines the Mother and Child Health Act, which since 1973 has played a role as the fundamental legal base for all policies related to pregnancy and childbirth, in order to discuss how and why this Act could be amended to guarantee individual citizen’s reproductive rights. In April 11, 2019, the South Korean Constitutional Court ruled that the existing Criminal Codes related to the abortion ban was unconstitutional. Following this decision, Article 14 of Mother and Child Health Act,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abortion ban on the Criminal Codes, is required to be amended by December 31, 2020. In this circumstance,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way in which revising only Article 14 of the Mother and Child Health Act is not a solution to fix its existing problems. In the 1970s, the Mother and Child Health Act was enacted to support population control policies, and it was revised to promote childbirth after 2005 when the low fertility rate was recognized as a national crisis. By analyzing how this Act has been implemented under pronatalist policies, this article addresses how the issues related to pregnancy and childbirth should be approached within a reproductive rights framework as women’s bodies and reproductive capacities have been easily objectified and utilized for national development when maternity is only understood as a woman’s duty.

more

초록/요약

이 글은 1973년에 제정된 이후 지난 50여 년간 한국사회에서 임신・출산 및 재생산과 관련된 모든 정책의 가장 기본적인 법적 근거로서 존재해온 「모자보건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개정 방향을 모색한다. 2019년 헌법재판소는 「형법」 낙태죄 에 대해 헌법불합치결정을 내렸으며, 이에 따라 인공임신중절에 관한 규정을 담고 있는 「모자보건법」 제14조 역시 개정이 불가피하다. 이 글은 「모자보건법」 제14조의 부분개정만으로는 헌법불합치 결정문에서 제시한 여성의 인격권과 자율성을 충분히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낙태죄가 인구변화에 따라 가변적으로 작동해오면서, 여성의 몸과 재생산 능력을 도구화하고 범죄화해온 배경에는 인구정책을 뒷받침하는 수단으로서 제정되고 개정되어온 「모자보건법」이 존재한다. 「모자보건법」이 인구정책과 맞물려 이제까지 어떻게 작동해 왔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이글은 임신・출산의 행위는 ‘모성의 의무’가 아닌 ‘재생산 권리’로 접근되어야 함을 논의한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모자보건법」이 국가의 인구통제를 위한 수단이 아닌 개인의 재생산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방향으로 개정되기 위해서 어떠한 고려가 필요한지에 대해서 살펴본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