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공통 도덕과 규범윤리학

Common Morality and Normative Ethics

초록/요약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re are limitations of the current normative ethical theories to solve practical ethical problems like bioethical issues and that a normative ethics based on common morality needs to be developed. A normative ethics to contribute to solving practical problems should be a theory to solve the conflicts of values beyond a theory to provide a coherent ethical perspective in the level of an individual by helping our reaching a social consensus as well as contributing to solving various ethical issues we face with in a pluralistic society. As value pluralism implies, values we pursue cannot be reduced into the one value neither have a hierarchy order among them. It is clear that any normative theory among utilitarianism, Kantianism, and virtue ethics cannot have played a dominant role in solving bioethical issues. Beauchamp and Childress providing so-called “principlism” name clusters of norms in common morality “principles” and develop reflective equilibrium as a method of moral reasoning by including the processes of specifying, weighing, and balancing norms in the context of particular issues in the concrete process of reflective equilibrium. In addition, morality consists of moral rules, ideals, and virtues for Beauchamp and Childress as well as Gert. As we observe in a group decision-making like ethics committee, the moral judgment that is socially accepted or allowed finally should cohere with ethical theories and norms, considered moral judgments, and their background beliefs that we share. Thus, I argue that a normative ethical theory based on common morality consisting of shared various moral rules, ideals, and virtues is a good candidate as a theory to be able to work in our pluralistic society.

more

초록/요약

이 논문은 생명윤리적 쟁점들과 같은 실천적인 윤리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기존 규범윤리이론에 한계가 있음을 밝히며, 공통 도덕(common morality)을 기반으로 한 규범윤리학 이론이 개발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한다. 실천적 문제해결에 기여할 규범윤리학은 다원주의 사회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윤리적 문제 해결하는 데 기여하고, 사회적 합의 도달에 기여함으로써, 개인적 차원에서 하나의 일관된 윤리적 시각을 제시하는 것만이 아니라, 가치 갈등을 해결하는 이론이어야 한다. 가치 다원주의가 시사하듯이, 우리가 추구하는 가치들은 어느 하나로 환원되거나 어떤 위계적 질서를 지니고 있지 못하다. 공리주의든 칸트의 의무론이든 덕 윤리든 어느 하나의 이론이 생명윤리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지배적인 역할을 하지 못함은 분명하다. 소위 “원칙주의”를 제시한 비첨과 췰드리스는 공통 도덕의 규범들을 네 가지 무리의 원칙으로 명명하면서, 해결해야 하는 사안의 맥락에서 이들 규범의 구체화, 비중주기, 균형잡기의 과정을 반성적 평형의 구체적 과정에 포함함으로써, 도덕 추론의 방법론으로서의 반성적 평형의 내용을 좀 더 발전시켰다. 또한 비첨과 췰드리스 그리고 거트가 이해하는 도덕은 도덕적 규칙, 이상, 그리고 성품의 덕으로 구성된 체계다. 사회적으로 수용되거나 용인되는 도덕적 판단은, 윤리위원회와 같은 그룹의 의사결정에서 목격하듯이, 결과적으로는 우리들이 공유하는 윤리이론과 규범, 숙고된 도덕 판단, 나아가 공유된 배경적 믿음과 정합적인 판단이다. 따라서 필자는 공유된 다양한 도덕적 규칙, 이상, 덕으로 구성된 공통 도덕을 기반으로 하는 규범윤리학이 다원주의 사회에서 작동할 수 있는 규범윤리학의 유의미한 후보라고 주장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