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알츠하이머 치매 노인에 대한 AAC 적용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AAC Applicationfor the Elderly with Alzheimer’s Disease

초록/요약

본 사례 연구는 감정 및 행동 조절의 어려움 등으로 요양병원에서 치료 중인 알츠하이머성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주 2회 면회시간마다 여러 유형의 도구 AAC를 체계적으로 활용하여 인지, 사회성 및 의사소통, 정서 행동에서의 변화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도구 AAC는 의사소통 책을 활용하여 주로 가족이 면회시간 대화 중에 사용하였으며, 마이토키 스마트와 나의 AAC 이야기 기능도 함께 사용하였다. 참여자 본인은 물론 다른 가족 구성원이나 요양 인력의 사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마이토키 스마트와 똑같은 구성과 내용으로 의사소통 수첩을 제작하여 병용하였다. 결과: 여러 유형의 도구 AAC를 적용한 결과 참여자의 인지 행동(예, 기억 상기하기), 사회성 및 의사소통(예, 선택하기), 정서 행동(예, 큰 소리로 웃기) 면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논의 및 제언: 퇴행성 뇌ㆍ신경질환인 치매로 손상된 여러 가지 기능을 보완하기 위한 의사소통 중재 요소가 논의되었다. AAC 적용에 대한 실험 통제와 객관적인 측정이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으나, 알츠하이머성 치매 노인에게 도구 AAC를 적용하여 인지 행동과 의사소통 등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identify changes in cognitive, social and communication, and emotional behavior by systematically using different types of aided AACs every two visits per week, to the elderly with Alzheimer's disease treated at a nursing hospital because of difficulties in emotional and behavioral control. Method: Aided AAC such as communication books was mainly used by family members during visiting hours. MyTalkie Smart and My AAC story function have also been used.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participation, we produced communication notebooks with the same composition and contents as MyTalkie Smart and used them. Results: Applying different types of aided AACs, resulted in identified positive changes in cognitive behavior (e.g., recalling), sociality and communication (e.g., making choices), and emotional behavior (e.g., laughing aloud).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Communication intervention factors were discussed to supplement various functions damaged by dementia, a degenerative brain and nerve disease. Although the limitations in which experimental control and objective measurement of AAC application have not been made, the study's significance is that aided AACs were applied to elderly people with Alzheimer's disease to identify positive changes in cognitive behavior and communica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