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테크노바디의 탈신체화와 재신체화에 대한 테크노페미니즘 분석 - 영화 <메트로폴리스>와 <엑스마키나>를 중심으로 -

Analysis on Dis-embodiment and Re-embodiment of Techno-body from the perspective of Techno-feminism

초록/요약

포스트휴먼이 탈육체화된 가상의 몸을 전제로 한다고 했을 때 테크노페미니즘의관점에서 몸을 성찰하는데 중심 개념은 생물학적 조건을 초월하는 포스트휴먼적 테크노바디가 함축하는 몸의 물질성과 젠더정체성이 될 것이다. 이 논문은 영화<메트로폴리스 Metropolis>와 <엑스마키나 Ex Machina>를 중심으로 탈신체화된 기계인간과 정보로서의 몸인 테크노바디가 몸의 재형상화, 나아가 재신체화로 재현되는 과정에서의 몸의 물질성과 젠더정체성 논의, 특히 포스트젠더를 테크노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모더니즘 시대에 제작된 <메트로폴리스>에서 기계인간 마리아는 인간과 기계의 접합을 통해 탈신체화와 재신체화를 거치면서 소멸되어야할 타자적 존재로 재현되었다면, 포스트휴머니즘의 맥락에서 해석가능한 <엑스마키나>의 에이바는 인간 형상으로 재신체화되면서 몸의 물질성의 상징적 표식을 획득하는 방식으로 주체적 존재가 된다. 따라서 인간과 기계의 혼종으로서 테크노바디의 몸의 물질성은 육체유물론에서의 유기체적 몸이 아닌 유동적 몸의 개념에 따라 재정립하는 테크노페미니즘의 시각에서 새롭게 정의될 필요가 있다.

more

초록/요약

The most important and simultaneously ambiguous theoretical concepts in the analysis of techno-body, which is regarded as dis-embodied figure in posthumanism, are ‘corporeality’, ‘gender identity’, and the dimension of ‘post-gender’ in the theoretical reflection on techno-body from the techno-feminist perspective. I analyze the different processes of dis-embodiment and re-embodiment in the comparing of Maria in the movie <Metropolis> and Ava in the movie <Ex Machina>. It is necessary to redefine the concept of corporeality of techno-body as hybrid form of ‘human’ and ‘machine’ in the theoretical application of techno-feminism. Corporeality of techno-body has no more the meaning of organic body, but the meaning of the floating body according to the programming process of techno-body. The dis-embodiment of ‘Maschinen-Mensch’ Maria in the movie <Metropolis> and re-embodiment of human body of A.I. robot Ava in the movie <Ex Machina> confirm that the hybrid subject between human and machine establishes in a techno-body as a robot. In this context the hybrid subject can be considered as the main theoretical point of techno-feminism.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