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다세대 사회계층이동 연구의 필요성에 대한 시론

An Exploratory Study on the Need for Multigenerational Social Mobility Research in South Korea

초록/요약

본 논문은 세대간 사회계층이동에 대한 국내 연구의 흐름을 짚어보면서 서구의 연구 동향을 참조하여 향후 관련 연구가 지향해야 할 방향성을 모색해보려는 목표에서 출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지금까지 국내에서 진행된 세대간 사회계층이동에 대한 연구들과 그 결과, 서구의 새로운 동향이라 할 수 있는 다세대간 계층이동 연구의 흐름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한국사회에 다세대 연구 모형의 도입 필요성을 제기하고, 3세대 연구에서 세대간 계층이동의 메커니즘으로 검증되거나 제안되었던 요소들을 정리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서구의 3세대 연구들은 주로 사회제도나 영속적, 비영속적 자원의 직접적 전달, 누적된 이익과 불이익, 조부모나 선조로부터의 지연된 영향력, 다른 구조적 불평등과의 상호작용, 기타 부모의 부재 및 인구학적, 생물학적 과정에 대한 조부모의 영향력 등에 주목해왔으며, 이외에도 사회나 국가에 따른 차이, 가족이 속한 계층적 지위, 젠더에 따른 차이들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여전히 2세대 중심적으로 구조화되어 있는 우리의 사회계층이동 모델 또한 이러한 점들을 충분히 반영하는 다세대 모형으로 확장, 발전되어 나가야 한다고 본다. 또한 여기에 새로운 세대 모형을 경험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광범위한 양적, 질적 데이터의 생산과 축적, 그리고 그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이 함께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적극적인 노력을 통해 미국과 유럽 등 서구권에 편중되어 주로 양적 데이터에 의존해온 기존의 다세대 사회이동 연구의 불균형성을 해소하는데 기여하고, 국내 관련 연구의 흐름에 있어서도 중요한 도약점을 마련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more

초록/요약

This paper started with the aim to seek a direction that intergenerational social mobility studies should pursue in the future by referring to Western research trends while exploring related works in South Korea. Specifically, we examined intergenerational mobility studies conducted in South Korea and their findings and the current flow of multigenerational mobility studies as a new research trend in Western academia. Based on this review, we raised the need to introduce a multigenerational mobility model into South Korean society and carried out a task of organizing various intergenerational mobility mechanisms addressed in three-generation studies. Three-generation studies in Western society have mainly focused on social institutions, a direct transfer of perishable and durable resources, cumulativ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lagged or delayed effects from ancestors including grandparents, interactions with structural inequalities, and other grandparent influences in case of absence of parents and demographic and biological processes. They also have pointed out that it was important to take account of heterogeneity in multigenerational influences due to social and national differences, social class of the family, and gender. Thus, we argue that our two-generational mobility model needs to expand and develop into a multigenerational model that fully reflects the aforementioned points. Furthermore, extensive data production and accumulation of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formation, which enables empirical testing of the new model, is needed along with actual empirical analyses. This active effort would contribute to resolving the imbalance in existing multigenerational mobility studies, which have largely been dependent on quantitative data analysis and skewed toward Western contexts such as the U.S. and Europe. It is also expected to provide an important leap in related research areas in South Korea.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