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한국 사회적기업의 성과 영향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Korean Social Enterprises

초록/요약

사회변화와 소득양극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여러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문제는 정부의 역량만으로 모두 해결될 수 없다는 현실적인 분석을 통해 사회적기업은 사회문제를 해결할 주체로 주목 받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사회적기업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고 지속가능성을 담보하지 못한다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반면에 사회적기업은 고용을 비롯한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분명한 대안 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평가도 있다. 이와 같이 사회적기업에 대한 평가가 엇갈리는 현시점에서 본 연구는 한국 사회적기업의 성과를 종합적으로 재고하여 성과를 높이고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정책적이고 실천 적인 함의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사회적기업 성과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위해서 메타분석을 통해 사회적기업의 성과 영향요인 연구들의 효과크기를 살펴 종합적이며 실증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요인이 경제적 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 다음으로 조직 요인, 지원 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성과와 관련해서 개인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보였 고, 그 다음으로 지원 요인이었으며, 조직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조직형태(영리, 비영리)와 지원시기(1차, 2차)를 조절변인으로 분석한 결과, 조직형태와 지원시기 모두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에 대한 영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업력과 규모가 사회적기업의 성과의 영향을 조절하 는지 메타 회귀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첫째, 사회적기업 성과의 가장 결정적인 영향요인은 개인요인으로. 사회적기업가를 위한 교육 훈련의 확대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둘째, 성과를 차별화시킬 수 있는 조직역량과 경영 강화가 요청된다. 셋째, 정부 지원 방식의 제고가 필요하다. 넷째, 사회적 성과 측정에 관한 문제로서 기존 선행연구의 측정지표와 SVI의 측정지표 불일치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며, 사회적 성과 측정에 대한 보다 심층적이며 다각적인 논의가 개진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그간의 사회적기업 관련 연구는 사회적기업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실증 연구와 데이터의 부족으로 인해 대부분 특정 지역과 한정된 결과를 보기 위한 연구들에 집중되었다.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 성과에 대해 최초로 메타분석을 시도하여 13년간의 연구를 체계적이며 종합적으로 분석 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개인과 조직, 정부지원에 대한 실천적이고 정책적인 함의를 모색하였으며, 특히 사회적 성과 측정문제에 대한 제언을 더해 연구적 의의를 가진다고 하겠다.

more

초록/요약

A variety of social problems are occurring in many areas of Korea recently due to income polarization resulting from social changes and economic crisis. Based on the realistic analysis and prospect that there is a limit to solving social problems occurring in various fields with the government capacity alone, social enterprises are draw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to solving social problems. However, social enterprises are negatively evaluated as having a negligible impact on the Korean economy and not ensuring sustainability. On the other hand, there are also evaluations that social enterprises are positioned as a clear alternative to solving various social problems including employment. Thus, at this point of time when positive and negative evaluations coexist,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performance of Korean social enterprises so far. This study conducted meta-analysis for a comprehensive analysis of social enterprise performanc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economic performance, individual factors had the greatest influence, followed by organizational factors and support factors. Second, in relation to social performance, individual factors showed the greatest influence, followed by support factors.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 factor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moderating effects, it was found that organizational type (for-profit, non-profit) moderates the influence on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while timing of support moderates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Other than that, it was found that business history and company size do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discussion and implications are offered.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education and training for social entrepreneurs. Second, strengthening organizational competence is required. Thir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government support method. Fourth, more in-depth and diverse discussions on social performance measurement should be mad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by attempting meta-analysis for the first tim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