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관계적 시청 지수: 공중파와 개인방송의 관계적 시청지수 비교 및 프로그램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Relational Viewing Index: Comparison of Traditional TV and Single-person Media Relational Viewing Indices and Their Influences on Program Favorability

초록/요약

본 연구는 시청 상황에서 맺는 다양한 관계성을 이론적으로 개념화해 ‘관계적 시청’이라제시하고, 그 측정을 위해 5가지 차원의 관계성 지수를 개발하였다. 시청자와 방송 프로그램과의 관계, 시청유도성에 의한 관계, 방송 등장인물과의 관계,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인물들과의 집단관계, 다른 시청자들과의 관계 등이다. 또한 본 연구가 제시한 관계성 지수를이용해 관계성의 다섯 가지 차원이 프로그램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방송 프로그램, 방송 등장인물, 등장인물들 집단, 다른 시청자들과의 관계가 호감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청유도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어 공중파방송과 개인 방송을 비교한 결과, 개인방송의 경우 관계적 시청의 모든 차원이 프로그램호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 공중파 프로그램보다 개인 미디어 방송이 시청자들과 더 강한 관계성을 형성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관계성이라는 막연한 개념을 5가지 차원으로 설명하고, 이를 실증 데이터를 통해 검증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theoretically conceptualized various relationships formed during viewing situations as ‘relational viewing,’ and developed a relationship index with five dimensions. These dimensions includ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ewer and the broadcast program, the relationship formed with viewing affordance, the relationship with the characters on the broadcast, the relationship with the characters group appearing in the program, and the relationship with other viewers. Using the relationship index suggested by this study, the influence of the five dimensions of relationship on the program favorability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s formed with broadcast program, the broadcast character, the group of characters, and the relationship with other viewers had significant effects on program favorability while relationship formed with viewing affordance did not. Furthermore, a comparison of traditional television and single-person media relational viewing indices revealed that single-person media broadcasting forms a stronger relationship with viewers than traditional public broadcasting program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