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발달장애 고등학생 자녀의 중등이후교육에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프로그램 요구

Parents’ Perceptions and Needs of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for Thei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초록/요약

연구목적: 서울 및 수도권 소재 특수학교와 일반학교 특수학급의 발달장애 고등학생 학부모의 자녀의 중등이후교육(postsecondary education, PSE)에 대한 인식 및 프로그램 요구를 조사하고, 자녀의 학교유형(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 따라 학부모의 인식과 요구에 차이가 있는지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 질문지 조사를 통해 발달장애 고등학생 학부모 총 238부 질문지 응답을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발달장애 자녀의 고등학교 졸업 후 PSE의 희망 진로로 ‘직업훈련기관의 직업관련 프로그램 참여’를 1위로 응답하였고(45.4%), 자녀에게 PSE가 필요하다는 인식은 높게 나타났으며, 그 필요성의 최상위 이유는 ‘자녀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PSE 프로그램 결정 시 어려움의 최상위는 자녀의 교육적 수준에 알맞고, 적절한 거리에 있는 PSE 기관과 프로그램의 수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PSE의 적합한 운영 주체 1순위는 국가·지자체로, 실시 장소로는 지역사회 평생교육기관, 직업훈련기관, 전문대학 및 4년제 대학교 순으로 선호되었다. 적합한 강사로는 ‘특수교사 혹은 특수교사 자격증 소지자’가 1순위로 나타났고, 교육 기간으로는 2-3년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PSE 내용으로 질문지의 12개 전 영역인, 대인관계기술 영역부터 기능적 학업기술 영역까지 모두 요구가 높았다. 추가 지원으로는 ‘경제적 지원’을 가장 많이 희망하였다.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학부모간 자녀의 PSE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서 PSE로의 진학지도와 전환 및 다양한 PSE 개발 및 실행에 참조할 필요가 있다. 결론: 본 연구는 발달장애 학생의 고등학교 졸업 이후 진학할 다양한 PSE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을 위한 구체적 교육과정 및 운영체계 개발의 필요성을 지적하며, 고등학교에서 PSE로의 전환 체계와 양질의 PSE 제공을 지원하는 정책 수립이 요구되는 현 시점에서 학부모 관점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의의를 가진다.

more

초록/요약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parent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DD) in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with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bout their children’s postsecondary education(PSE), and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arents’ perceptions and needs of PSE according to their children’s school type. Method: Data was collected using the survey questionnaire method. Responses from a total of 238 paren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PSE option best preferred for their children was ‘vocational programs at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There was a high level of perception of the parents on the necessity of PSE for their children, and the most responded reason for the PSE was ‘for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quality of life’. The parents found not enough appropriate PSE programs for their children with DD at a reasonable distanc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ranked first as the most appropriate to operate their children’s PSE institutions. The site most desired for PSE was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Most favored instructors for PSE were ‘special education teachers or professionals holding a certificate in special education’, and the most desired PSE period was 2-3 years. All 12 domains were highly validated as contents of a PSE curriculum.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e parents’ perspectives and demand for PSE and it provides useful data on the parents’ perceptions and needs of PSE for their children with DD at a time when governmental policy for the appropriate PSE for individuals with DD is called for.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