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나에게 혜화역 시위는 무엇이었나?: 2030 여성들의 경험과 목소리를 중심으로

What Was ‘Haewha Station Protest’ to Us?: Focusing on voices and experiences of young women

초록/요약

본 연구는 현재까지 여성과 관련된 단일 이슈로 최대의 인원들이 거리에 나섰던 ‘혜화역 시위’와 관련하여 거리에서 또는 온라인상에서 이 시위에 참여/관여한 여성들이 해당 시위에 부여하는 의미를 탐색했다. 혜화역 시위 현장에 참여하거나 온라인상에서 참여/관여한 20∼30대 여성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수행했다. 분석 결과, 첫째, 이삼십 대 여성들은 특정 단체 등에 속하지 않고 소셜 미디어에서 시위관련 정보를 얻고 개인들의 경험으로 오프라인에 참여하였으며 둘째, 오프라인 시위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두려움을 느끼며 현장에 나갔지만 이내 함께하는 여성들에게 연대감을 느꼈다. 셋째, 이들은 자신들이 속한 사회에서의 외로움과 비주류로서의 위치성을 자각하며 ‘금지의 수사(rhetoric of prohibition)’와 같은 운동방식을 전략적으로 채택했다. 마지막으로, 이 시위의 성공 여부에 대해서 다양한 의견들을 제시했고, 방법상의 우려점들이 논의되어 지속 가능한 여성주의 사회운동으로 나아가야한다는 바람을 드러냈다. 혜화역 시위에 참여한 평범한 여성들은 일상 속의 불편함을 계기로 거리 시위에 나선 뒤, 두렵지만 함께 연대하는 경험을 통해 힘돋우기(empowering) 하며 투쟁하는 창발적 주체로 귀납적으로 발견된 존재로 거듭났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intended to consider the implications of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offline demonstration on the street or online discussion in relation to the Haewha Station protest, which has been the largest issue related to women so far. Therefor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participated in the Haewha Station protest or participated online, drawing meaning through their voices. According to the analysis, first, 2030 women got information about the protests on social media, participated offline with their personal experience. Second, they went out to the scene feeling scared however soon felt solidarity with the women who did not know each other but who were together. Third, they were aware of their loneliness in their society and their position as minorities, and strategically adopted method of the movement such as the “rhetoric of prohibition.” And finally, while presenting various opinions on the protest, they expressed their desire to continue to discuss related concerns and move toward a sustainable feminist social movement. Women’s experience in the Haewha Station protest shows the potential of women’s movement as a networked social movement through digital, where individuals share, unite in online and go offline spaces, not led by a specific organization or theory-based women’s movemen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