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미국 공통핵심기준(CCSS)의 ‘언어(Language)’ 영역의 내용 체계 분석

Analyzing the Content Framework of the ‘Language’ Domain of the ‘English Language Arts(ELA)’ in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CCSS)

초록/요약

이 연구는 우리의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해당하는 미국의 교육과정인 공통핵심기준(CCSS: Common Core State Standards)의 영어 교과(ELA: English Language arts)의 하위 영역인 ‘언어(Language)’ 영역의 내용 체계를 분석한 것이다. 그간 ‘언어’ 영역은 우리의 ‘문법’ 영역에 대응되어 언급되어 왔지만 지금까지 본격적으로 세밀하게 분석된 적은 없었다. 이 연구에서는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짜는 근본적 틀이 내용 체계임에 주목하여, 해외의 주요 사례이면서도 우리와는 다소 다른 선택과 집중을 시도한 미국 CCSS의 내용 체계를 분석함으로써 학교 교육에서 국어 문법교육의 교육과정 적정성 문제 논의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분석은 내용 체계의 하위 범주 설정 양상, 내용 요소의 선정과 배열, 언어 기능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그 결과 CCSS의 ELA 내 ‘언어’ 영역이 문식성의 기초에 해당하는 영역으로서, 세부 내용 요소가 말하기와 쓰기 등과 직결되는 것들로 위계화되었으며, 그 근본적인 설계 논리 면에서 학문과 직무로 대별되는 성인기 문식성의 도달점으로부터 연역적으로 체계와 내용이 갖추어짐을 확인하였다. 한국의 상황에 견주어서 특히 유의미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CSS의 ‘언어’ 영역은 문식성 신장에 필요한 지식 기반으로서, 언어 사용의 정확성과 적절성과 함께 어휘의 전략적 사용에 초점을 두고 있다. 둘째, 언어 영역은 쓰기, 읽기 등의 타 영역과 상호 참조점이 명시되어 있으며 이것은 문식성의 통합 모형이 구체적으로 실현된 증거이기도 하다. 셋째, 내용 요소의 선정과 위계화의 명세성과 유기성이 매우 높아서, 단계별 교육 내용 요소의 선정 및 조직에 좋은 참조가 된다. 넷째, CCSS에서 전략적인 어휘 사용을 강조하는 맥락의 특수성을 유의해야 한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nt framework of the ‘Language’ domain, a sub-domain of the ‘English Language arts(ELA)’ of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CCSS), a corresponding U.S. curriculum in our ‘Korean’ curriculum. Until now, the ‘language’ domain has been mentioned as corresponding to our ‘grammar’ domain, but it has not actually been analyzed in detail. Compared to the ‘Grammar’ domain of the ‘Korean’, the overall direction and detailed organization the ‘language’ of the ‘ELA’ are quite different. We expect these differences to provide a very good reference point for strengthening the adequacy of the grammar curriculum. In particular, the fundamental framework for compiling the contents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s the content system, so we intensively analyzed the format and contents of the content system. The analysis was conducted around the subcategory setting aspects of the content scheme, the selection and arrangement of content element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language skills.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 ‘language’ domain in the ELA of CCSS was the basis of literacy, and that the details were elaborated into closely related language skills such as speaking and writing. In addition, the fundamental design logic of this content system began with establishing a point of reach for adult literacy, which is distinguished by College and Career Readiness Anchor Standards, and from this key element, the framework and contents of the system were revealed deductively. The main points of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the ‘Language’ of ​​CCSS is a knowledge base necessary to develop literacy, and focuses on the strategic use of vocabulary along with the accuracy and appropriateness of language use. Second, cross-reference points with other domains such as writing and reading are specified in the ‘Language’ domain, which is also evidence that the integrated model of literacy has been concretely realized. Third, the specificity and organicity of the selection and hierarchy of content elements is very high, so it is a good reference for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 elements for each stage. Fourth,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specificity of the context that emphasizes the strategic use of vocabulary in CCS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