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영유아기 자녀를 둔 난민 부모의 가족 분리 경험과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 배우자 양육문제 도움의 조절 효과

Refugee parents’ separation and its effect on parental self-efficacy: Moderating effect of spouse’s help in parenting

초록/요약

본 연구는 스트레스 과정 모델에 기반을 두고 영유아기 자녀를 둔 난민 부모의 가족 분리 경험과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배우자의 양육문제 도움이 이들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를 갖는지 파악함으로써, 난민 가족의 건강한 적응 및 정착을 돕기 위한 지원방안의 기초를 마련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7년 난민지원 NGO의 도움을 받아 수집된 4개월 이상 72개월 미만 영유아기에 해당하는 자녀를 둔 난민 부모 84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인구사회학적 요인, 가족 분리 경험 유무, 배우자 양육문제 도움 정도, 양육효능감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영유아기 자녀를 둔 난민 부모의 양육효능감은 가구 월평균 소득, 자녀 수, 사회 지원 서비스 이용 경험, 가족과의 분리 경험, 배우자 양육문제 도움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또한, 배우자 양육문제 도움은 부모의 가족 분리 경험과 양육효능감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영유아기의 난민들이 건강하게 성장하기 위해서는 부모가 난민으로서의 강제 이주, 난민캠프, 정착국에서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어려움을 극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보았으며, 국내 체류 난민 가족의 건강한 적응을 돕기 위한 개입 방향성 및 휴먼 서비스적 지원방안을 논의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basis for human service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for parental self-efficacy in parents who have young refugee children. Using the stress process model, this study examined refugee parents’ separation experience and its effect on parental self-efficacy while tes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pouse’s help in parenting.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e study, we employed secondary data analysis using the 2017 Child Fund Korea data. Participants included 84 parents whose children were aged between 4 months and 72 month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l self-effica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onthly household income, number of children, use of social services, separation from children, and spouse’s help in parenting. Further, spouse’s help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separation and parental self-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the authors discussed ways to help refugee parents enhance their parental self-efficacy so as to help them act as a buffer against various adverse effects from negative experiences of refuge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