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장애 영유아의 아버지가 참여한 국내 연구 동향

Literature Review of Korean Studies that Involve Fa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초록/요약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 영유아의 아버지가 참여한 국내 문헌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장애 영유아 아버지 지원의 실제와 후속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0년부터 현재까지 수행된 장애 영유아 가족 참여 연구 중 아버지의 역할이 명확하거나 아버지 변인을 정확히 구분하여 제시한 연구 총 21편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동향과 연구설계별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 영유아의 가족이 참여한 연구 중에서 아버지 참여가 명확하게 드러난 연구는 극히 소수였다. 둘째, 양적연구 16편 중 11편이 조사연구였으며 조사연구의 주요 주제는 양육참여, 양육스트레스, 행복감, 지원 요구 등이었다. 나머지 5편은 실험연구로, 아버지가 참여한 부모실행중재의 긍정적 성과를 보고하였다. 셋째, 질적연구는 5편이었으며, 아버지의 양육경험을 기반으로 삶의 어려움과 극복, 성장 등이 제시되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 영유아 아버지 참여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more

초록/요약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trends in Korean studies that involved the fa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implications on the practices and future research for the father support. Method: The articles that clearly describe the fathers’ involvement or specify the father-related variables were selected among the studies published from 2000 to the present. Twenty-one studies were selected and the overall trends were analyzed. As well, the studies were categorized by research design and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s were analyzed for each category. Results: First, only a few studies have clearly demonstrated the father involvement. Second, 16 articles were quantitative research and 11 among them were survey studies. The main themes of the survey studies were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parenting, parenting stress, happiness, support needs, etc. The rest five experimental studies reported the positive outcomes as the results of parent-implemented interventions conducted by the fathers. Third, in the five qualitative studies, the fathers seemed to have overcome and outgrown the difficulties of life through parenting experiences. Conclusion: Suggestions for revitalizing the father involvement in interventions and support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discuss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