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아동의 공간복지 향상을 위한 아동친화도시 지표체계에 대한 국제비교 및 환경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nternational Comparison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Child-friendly City Indicators for Improving Spatial Welfare of Children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여러 국가의 아동친화도시 지표를 비교하여 한국의 아동친화도시 지표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유니세프가 개발한 아동친화 지역사회 자가평가 툴(CFC-SAT)에서 제시하는 6개 영역의 52개 세부항목을 기준으로, 한국을 포함한 5개국의 아동친화도시 인증을 위한 지표를 분석·재분류했다. 분석 결과 아동친화도시 지표는 국가별로 차이가 매우 크며, 특히 한국의 지표는 물리적 공간환경의 개선에 관한 내용이 매우 적고 평가방식에 대한 기준도 명확히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한국의 아동친화도시 인증을 위한 지표체계에 보완될 수 있는 물리적 공간환경 관련 지표들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아동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시설공간 확보를 위한 지표들이 많이 보완되어야 하며, 공간환경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한 지표들, 아동의 이동수단과 거리적 접근성에 관한 지표들, 아동친화적인 커뮤니티 공공공간 조성을 위한 지표들, 그리고 아동의 인권보장, 빈곤, 학대, 교육에 있어서의 지역적 격차를 완화하기 위한 지표들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 지표의 평가방식에 있어서도 아동 공간환경의 실태와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보다 구체적이고 분명한 측정단위와 분석단위에서 제시할 필요가 있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s for improving Korea's child-friendly city indicators by comparing child-friendly city indicators of various countries. Based on 52 detailed items in 6 areas presented by the child-friendly community self-assessment tool(CFC-SAT) developed by UNICEF, we analyzed and reclassified the indicators for child-friendly city certification in 5 countries including Kore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child-friendly city index differs greatly from country to country, and in particular, the Korean index has very little information on the improvement of the physical spatial environment and has limitations in not clearly presenting the criteria for the evaluation method. Accordingly, the following are the physical and spatial environment-related indicators that can be supplemented to the indicator system for the certification of a child-friendly city in Korea. First of all, indicators for securing various types of facility space for children should be supplemented, indicator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spatial environment, indicators for children's transportation means and accessibility, and indicators to create child-friendly community public spaces need to be added. Also important are indicators to reduce regional disparities in children's human rights, poverty, abuse and education. In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indicators,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children's spatial environment and the goals to be achieved in more specific and clear units of measurement and analysi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