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특수학교 특수교사와 관리자의 통합교육 및 일반학교와의 통합교류에 대한 인식과 경험 고찰

A Study on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Administrators in Special Schools about Inclusive Education and Interschool Exchanges with General Schools

초록/요약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학교 특수교사와 관리자의 통합교육과 일반학교와의 통합교류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통합교육의 흐름 속에서 특수학교 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고려하여 수도권 내 특수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특수교사 17명과 관리자 5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 및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고 그 외 관련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제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3가지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1) 통합교육 및 일반학교와의 통합교류 성과 및 교훈, 2) 특수학교에서 바라본 통합교육, 3) 통합교육과 함께하는 특수학교 교육. 결론: 도출된 대주제 및 하위주제를 바탕으로 향후 통합교육의 흐름 속에서 특수학교 교육의 지향점과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제언이 제시되었다: 1) 주요 관련자들 간 공유된 이해와 협력 증진, 2) 법적 정의에 나타난 통합교육 개념 재정립의 필요성, 3) 통합을 지향하는 특수학교 교육의 실천, 4) 일반학교와의 통합교류 여건 개선요구, 5) 특수학교가 가져야 할 새로운 정체성과 역할 및 지원요구

more

초록/요약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teachers and administrators working in special schools about inclusive education and interschool exchanges with general schools and to explore future directions for special schools.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17 teachers and 5 administrators working at special schools. Focus group and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participants. Other data collected besides the interview were such as books, research papers, articles, etc. Thematic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Result: Resulting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the following three themes emerged: 1) outcomes and lessons from experiences of inclusive education and interschool exchange, 2) the inclusive education seen in special schools, and 3) education in special school oriented towards inclusive education.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implications regarding new orientation and practices for special schools were discussed under the following five points: 1) promotion of shared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among stakeholders, 2) needs for re-introduction of inclusive education in legal statements, 3) possible actions for education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in special schools, 4) improving conditions for interschool exchanges with general schools, and 5) new identities and roles of special schools along with necessary support need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