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필수자원에 대한 유아의 분배 행동 양상 및 이유

Young children’s patterns of allocation action on essential resources and reasons for the action

초록/요약

본 연구는 필수자원에 대한 유아들의 분배 행동 양상과 그 이유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만 4~6세 유아 161명을 대상으로, 연구자와 유아의 1:1 개별면담을 통해 분배 과제를 들려준 후, 유아가 분배하고 그 이유에 대해서 설명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자료분석을 위해서는 분배 행동의 양상과 그 이유를 범주화한 후, 전체, 연령별, 성별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들은 업적(노력, 결과)이 다른 3명에게 자원을 분배할 때 모든 연령과 성별에서 동일한 개수로 분배하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연령이 올라갈수록 차등을 두어 분배하는 비율이 점차 높아졌다. 둘째, 유아들의 분배 행동의 이유는 크게 평등과 업적으로 나누어지며, 평등은 다시 공평, 타인 고려, 기타로, 업적은 필요·결과 고려, 노력·결과 고려, 필요·노력·결과 고려로 나누어졌다. 이는 유아들이 분배 행동을 할 때 다양한 요인을 고려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들은 분배 행동에서의 유아의 결정과 이유를 이해하는 것의 중요성과 토의 및 교육의 가능성을 시사하며, 서구 문화권과 다른 우리나라 유아들의 공정성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aimed to explore young children’s patterns of allocation action on essential resources and reasons for the action. Participants were 161 four–to–six year olds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with them. After listening to a resource allocation task, they were asked to allocate six essential resources to three dolls and to tell the reason for their allocation action. For data analysis, children’s patterns of allocation action and reasons were coded, and frequency and percentages were calculated by total, age, and gend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jority of the children allocated equally to three dolls who were different in merits (efforts and outcomes), but with age they seemed to begin to allocate differently to the dolls by merit. Second, the children’s reasons for allocation action were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equality and merit. Further, equality was subdivided into fairness, considering others, and the rest; merit was subdivided into considering need and outcome, considering effort and outcome, and considering need, effort, and outcome. That is, the children considered various reasons in their resource alloc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young children’s decisions of and reasons for allocation action and the possibility of discussion and education, and are significant in building baseline data for understanding fairness of young children in Korea that are different from Western cultur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