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보행자의 주관적 인식과 성별이 보행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edestrians' Subjective Perception and Gender on Pedestrian Environment Satisfaction

초록/요약

본 연구는 보행자의 성별에 따른 보행환경 만족도와 주관적 인식의 양상을 확인하고, 보행자의 주관적 인식이 보행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및 보행자의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보행환경의 안전성, 편리성, 쾌적성에 대하여 총 14개의 하위 요소로 구성된 분석의 틀을 도출하였다. 자료수집은 온라인 설문 조사지를 통해 진행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간 보행환경 만족도의 차이는 보행환경 만족도의 순위가 낮은 가로에서 유의하였다. 둘째, 보행환경의 안전성, 편리성, 쾌적성에 대한 성별 간 주관적 인식의 차이는 분석가로 대부분에서 유의미하였으며, 차이가 나타나는 인식요소는 보행환경의 상황에 따라 상이하였다. 셋째, 보행환경 만족도의 가장 주요한 영향요인은 ‘가로에 면한 건물시설용도’와 ‘교통사고 위험’에 대한 인식이었으며, 보행자의 성별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보행자의 성별은 ‘교통사고 위험’에 대한 인식과 ‘자연적 감시의 눈’에 대한 인식이 보행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때 유사 조절변수(quasi moderator variable)로 작동하여 여성이 남성에 비해 전반적인 보행환경 만족도를 낮게 평가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보행자의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제시함으로써, 보행환경 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안모색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more

초록/요약

Pedestrian Satisfaction has been studied to be influenced by both objectively and subjectively measured variables.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examining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pedestrians by gender and their potential impact on pedestrian satisfaction. This study investigated gender differences in pedestrian satisfaction and subjective perceptions of the safety, convenience, and comfort using 14sub-elements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And not only the satisfaction factors of pedestrians but also the moderation effect of gender were analyzed.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250 participants (48% male and 52% female). As a result, it can be said that the difference in subjective perception according to the gender of pedestrians is evident in most street types, and there are also differences in factors according to gender by each street type. And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the perception of the ‘Ground floor facility use’ and ‘Traffic safety’. Finally, although gender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edestrian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females underestimate pedestrian satisfaction compared to males when pedestrians had the same perception of ‘Traffic safety’ or ‘Eyes on the street’. In summary, this study has strengths in that it confirmed that the gender is a quasi-moderating variable that can indirectly affect pedestrian satisfaction. From th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the future urban planning and policies to improve pedestrian satisfac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