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사회적기업가 연구, 어디까지 왔는가?: 국내연구 경향분석

A Review of Social Entrepreneur Research: What are the Recent Trends in Korea?

초록/요약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hat have empirically found that the competence of social entrepreneurs over the past 14 years is a key success factor in social enterprise performance. However, although there has been a trend study on the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and social enterprises so far, there has been no trend study that comprehensively examines ‘social entrepreneu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organize trends in domestic academic research on ‘social entrepreneurs’ which are key success factors in the operation of social enterprises. To this end, the registered academic papers were extracted until October 2020 where a total of 79 papers were selected through a systematic review process, followed by technical analysis and subject analysis. The result of the technical analysis are as followed, first, the study was found in 2009 during the study period, and generally it was on the rise, but it peaked before and after 2017 and it fell slightly. Second, the most common research majors were business administration, followed by administration > social welfare. Third, more than half of the research targets were conducted on “people” in the order of representatives of social enterprises and managers > employees of social enterprises. Other previous studies and studies targeting general corporate workers followed. Fourth, research methods were shown in the order of quantitative research > qualitative research > literature research > mixedresearch. As a result of the subject analysis, first, the research topic had the highest performance of social entrepreneurs, followed by social entrepreneurship > education > fostering > competence > leadership > value > role. In addition, soci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social entrepreneur competency, spirit, and leadership, and the ‘social entrepreneur performance path’ that leads to the performance of social entrepreneurs was found. Second, unlike the early stages of research where various research topics were found, there were many studies on the performance of social entrepreneurs in the mid to late 2010s. Third, various majors were evenly distributed in researcher majors by research subject, and the performance study of social entrepreneurs of business majors stood out. Fourth, social entrepreneurs’ performance and leadership were examined mainly by social enterprise officials in researchsubjects. Fifth, some topics were focused on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such as social entrepreneur leadership using only 100% quantitative research in research methods by subjec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social entrepreneur performance path verification, continuous social entrepreneur education and leadership research, in-depth content analysis on social entrepreneur performance, education for social entrepreneurs, development of public data related to social entrepreneurs, and utilization of various research methods have been suggested.

more

초록/요약

지난 14년간 사회적기업가의 역량이 사회적기업 성과의 핵심 성공요인임을 실증적으로 밝혀낸 연구들이 많다. 그러나 현재까지 사회적기업 및 사회적기업 성과에 관한 경향연구는 있었으나, ‘사회적기업가’를 종 합적으로 살펴보는 경향연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 운영의 핵심 성공요인인 ‘사회적기 업가’에 대한 국내 학술 연구의 경향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20년 10월까지의 등재 학술논문의 체계적 논문고찰 과정을 거쳐 총 79편의 분석대상 논문을 선정한 후, 기술분석과 주제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술분석 결과, 첫째, 연구시기에서는 2009년부터 해당 연구가 발 견되었으며, 대체적으로 상승세를 보였으나, 2017년 전·후에 정점을 찍고 소폭 하락했다. 둘째, 연구자 전공은 경영학이 가장 많았고, 행정학 > 사회복지학 등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 셋째, 연구대상은 사회적기 업 대표 및 운영진 > 사회적기업 종사자 순으로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다음 으로 선행연구, 일반기업의 근로자 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뒤를 이었다. 넷째, 연구방법은 양적 연구 > 질적 연구 > 문헌 연구 > 혼합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주제분석 결과, 첫째, 연구주제는 사회적기업가 성과 가 가장 많았고, 사회적기업가 정신 > 교육 > 육성 > 역량 > 리더십 > 가치 > 역할 순으로 이어졌다. 또한, 사회적기업가 교육이 사회적기업가 역량과 정신, 리더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나아가 사회적기업가의 성과로 이어지는 ‘사회적기업가 성과 경로’를 발견하였다. 둘째, 연구주제별 연구시기에서는 연구초기 다양 한 연구주제가 발견되었으나, 2010년대 중‧후반에는 사회적기업가의 성과 연구의 비중이 높았다. 셋째, 연 구주제별 연구자 전공에서는 전반적으로 다양한 전공이 고르게 분포되었으며, 경영학 전공자의 사회적기업가 성과 연구가 두각을 나타냈다. 넷째, 연구주제별 연구대상에서 사회적기업가 성과 및 리더십은 사회적기 업 관계자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다섯째, 연구주제별 연구방법에서 사회적기업가 리더십은 100% 양적 연구만 활용하는 등 일부 주제는 양적 연구방법에 편중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기업가 성과경로 검증, 지속적인 사회적기업가 교육 및 리더십 연구, 사회적기업가 성과에 대한 심도깊은 내용분 석, 사회적기업 종사자 대상의 교육, 사회적기업가 관련 공공데이터 개발, 다양한 연구방법의 활용 등을 제 언하였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