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학교급, 지역, 학교 유형에 따른 우리나라 초중고 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양상 탐색

Exploring the digital literacy patterns of Korea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y school level, region, and school type

초록/요약

초중등 학교교육을 통해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강화해 나가야 할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향후 체계적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추진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현행 초중등학교에서의 다양한 학습 경험이 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에 얼마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 소재 초중고 학생 2만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디지털 리터러시의 세 측면(자기효능감, 자기조절, 참여)을 중심으로 학교급, 지역, 학교 유형에 따라 그 결과를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학교급과 디지털 리터러시 각 영역의 발달 양상은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도시지역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읍면지역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학교와 비교했을 때 혁신학교나 민주시민교육 실천학교의 프로그램은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에 일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디지털 교과서 시범학교 프로그램은 일반학교에 비해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교육적 시사점이나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re is a growing need to strengthen digital literacy education through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education. As such,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positively affect students’ digital literacy improvement as part of foundational research to promote systematic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the future. To this end, a survey of 20,00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region, and school type, focusing on three aspects of digital literacy (self-efficacy, self-regulation, and particip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velopment aspects of each area of school-level and digital literacy differed and that the digital literacy of learners in urban areas was higher than that of rural areas. Compared to ordinary schools, programs at innovative schools or democratic civic education schools have some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digital literacy, but digital textbook pilot school programs show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ordinary schools. These results hav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follow-up studies are suggest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