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장애학생 가족을 대상으로 실시된 상담지원 관련 국내연구 동향 분석

Trends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Related to Counseling Supportfor Famil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 가족을 대상으로 실시된 상담지원 관련 국내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상담지원의 실제 및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20년까지 발표된 국내 논문 37편을 선정하여 연구 동향과 상담지원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2012년에 가장 많은 수의 논문이 발표되었고 주 양육자, 특히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장애학생의 학교급과 장애유형은 각각 초등학교, 발달장애가 가장 많았다. 연구방법으로는 비교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둘째, 상담지원 구성을 분석한 결과 상담유형으로는 집단상담이, 상담방식으로는 미술치료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이론적 배경이 제시되지 않은 논문이 가장 많았으나 제시된 논문 중에서는 인지행동치료 이론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셋째, 상담지원 방법 분석 결과 상담자 배경정보, 상담 장소가 명시되지 않은 연구가 많았고, 단기상담으로 진행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넷째, 상담지원의 성과를 알아보기 위해 장애학생 가족의 부정적 정서를 측정한 논문이 가장 많았다.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아버지와 조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 특정 상담유형과 방식에 국한되지 않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상담지원 방법에 대한 정보를 상세히 밝히고, 상담지원의 성과로 장애학생 가족의 긍정적 정서변인을 살펴보는 후속연구가 증대되어야 한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in counseling support research conducted in Korea for family membe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practices and future research in counseling support. Thirty seven studies published from 2010 to 2020 were selected and analyzed.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has been published in 2012 and the most main participants were mothers. In terms of disability type and age of the participants’ children,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elementary students were the most. The majority of studies used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Second, the most frequently used counseling types and media were group counseling and art therapy each. Most studies did not declare their theoretical backgrounds, bu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theory accounted for the majority among the studies that presented a theoretical background. Third, a number of studies did not provide details regarding qualifications of counselors and counseling places. In terms of length, short-term counseling was the most frequently applied. Fourth, most studies focused on the amelioration of families’ negative emotions as an outcome of counseling. This study implied that mo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in regards to counseling for fathers and grandparents and that counseling types and media should be diversified. Also, future studies should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on counseling methods and pay attention to positive emotion as an outcome of counseling support.

more